Art provide wriggler like a child for me

    Hyesuk Choi’s Life is? The Art, Companion for life
    She graduated from Gwangju art high school in 2011 and entered Dept. College of Arts Cheonnam University the same year, graduate from College of Arts in Cheonnam University in 2015. She is the oldest daughter among two sons and two daughters and lives with the family of eight that grandfather, grandmother, daddy, mommy, elder sister and two of brothers. She was inspired by her mother who loved painting art therefore grew up watching artwork that oil painting, drawing and landscape painting etc. and due to this environment; she had affection about an emotional and paints, brushes, palette and colors of artwork. She did constantly work activity throughout her school years and won many prizes in an art contest on behalf of her class. She started work activity in earnest in her freshman year in University and participated contest exhibit since 2011 so won excellence award in Bada painting great exhibition, was accepted in Korea painting great exhibition and won 10 times prizes and participating group exhibitions were exchange exhibition in University Mongolia and Contemporary art small-size artwork exhibition etc besides 5times. Solo exhibition was on-line exhibition in ainno gallery. There wer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t she had experience served wall painting in blue bird welfare assembly hall and she participated in the 1st Asia youth culture festival and did exchange with students of 11 country and made pamphlet & banner for festival. Therefore she served as a momentum got discerning eye that could saw various world through fresh culture & activities of each country.

    Her artworks? – Speaking visually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concept of art gradually change reappearance, creative ego expression, learning and cultural communication. And it shift took place from modernism to post modernism in the late 20th Century society. The shift was able to say sociocultural approaching which defied the social pressures and inequality. At this influence brought paradigm that visual culture transferal in 21st century.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art expanded to visual culture. Her categories of art are painting, media, installation and photo. Materials of artwork are painting & times, technology & human life, critics about mass media. She always studies about colors, works harmony with Korea painting & computer graphic in other words she works analog sensibility & digital sensibility. She is try her best can be best communicated to appreciator contents in her artwork and message. She say that her artwork is the same as her other self. Eventually the art is why she live and can say the art provide to her ardent mentality of work.

    Plan ahead? -her view of life and future plan
    Her view of life is to challenge as a youth and her favorite words are youth, passion, challenge, love and patience and her motto is the fastest when think that was late. She has passionate heart about the art and a second grade certification as art teacher and culture & arts education. She says with confidence will more in-depth study about arts and will do consistent work activity.

    예술은 나에게 어린아이와 같은 꿈틀거림을 제공한다

    최혜숙의 생애는? - 예술과의 동행
    그녀는 2011년에 '광주예술고등학교' 졸업했으며 2011년에 전남대학교예술대학 미술학과를 입학해 2015년에 졸업했다. 그녀의 가족사는 할아버지, 할머니, 엄마, 아빠, 여동생, 남동생2명인 총 8명의 식구가 살고 있으며, 2남2녀중 '장녀'이다. 그녀는 남달리 미술을 좋아하시는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어릴 때부터 유화작품이나 드로잉, 풍경화 등의 그림들을 보고 자랐고. 이런 환경이 그녀에게 물감, 붓, 팔레트, 작품의 색채 등 감성적인 면에 있어 친근감을 심어주었다 초등학창시절부터 반 대표로 미술대회에 나가 다수의 상을 수상했으며 중학교, 고등학교시절까지 계속 꾸준히 작품활동을 했다. 본격적으로 작품활동을 한 시기는 대학교 1학년때이며 2011년부터 공모전에 출품해 바다사생대전 '우수상', 무등미술대전 '특선', 여성미술대전 '입선', 광주광역시 대전 '입선', 한국화 대전 '입선'외 10회 이상 수상했으며, 단체전은 몽골 소이스 대학교 교류 전 및 현대미술 작은 그림 축전 외 5회, 개인전은 아이노 갤러리에서 온라인으로 열어 활동했다. 교외 활동으로는 파랑새복지회관 벽화 봉사활동을 한 경험이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 '제 1회 아시아 청소년 문화 축전'에 참가하여 각국 11개국의 아시아 학생들과 교류활동을 하며 축제의 팜플렛과 현수막 등을 제작했고 각 나라의 신선한 문화와 활동을 통해 다양한 세계를 보는 안목이 생기는 계기가 됐다.

    그녀의 작품세계는? - 시각적으로 말하기
    교육적 관점에서, 미술'의 개념은 재현, 창의적 자아표현, 학문, 문화적 소통으로 변화되었다. 그리고 20세기 후반 사회 전반의 모더니즘에서 포스트 모더니즘으로의 전이가 일어났으며, 이 전이는 사회적 억압과 불평등에 도전하는 사회문화적 접근이라 말한다. 이러한 영향력이 21세기에 시각문화로의 전이라는 패러다임을 가져왔다. 즉, 미술의 개념은 시각문화로 확장되었다. 그녀의 작품범주는 회화, 미디어, 설치, 사진이며 이 포트폴리오에 실린 그림들은 주로 대학생시절 작업했던 작품들을 모아 놓은 거라 말 할 수 있다. 작품의 소재들은 주로 미술과 시대,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삶, 미디어매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작업하고 있으며. 색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한국화와 컴퓨터그래픽과의 조화로 절충해 작업한다. 즉, 아날로그 감성과 디지털 감성을 가지고 작업하고 있다. 그녀는 작품을 통해 그녀가 담고자 하는 내용 및 메세지를 감상자로 하여금 잘 전달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그녀에게 작품은 자기 분신과도 같은 것이라 말 한다. 결국, 그녀에게 있어서 예술은 그녀가 인생을 살아가는 이유이기도 하면서 작품활동을 할 수 있는 열정적인 작업정신을 제공한다고 말 할 수 있다.

    앞으로 계획은? - 인생관 및 미래계획
    그녀의 인생관은 청춘답게 도전 하는 것이며, 좋아하는 단어는 청춘, 열정, 도전, 사랑, 끈기 이며 좌우명은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른 때이다라고 한다. 또한, 그녀는 미술에 대해 불꽃같은 열정적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미술정교사 2급과 문화예술교육사 2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미술을 더 깊이 있게 공부하면서 작품활동도 꾸준히 하겠다고 자신 있게 말한다.

    Summary interpretation of artwork

    The world in my Imagery have as meaning to coexist nature with human and IT.
    Category of my artwork's substance are about art and times, technology and human's life.
    I think that 21st century is the coding (software) of age so borrowed application or memory chip etc, expressed that reinterpreted my own view which embodied as formative elements.

    Especially, it express that flowers of nature was embodied and it is able to tell meaning which coexist IT software for example color, application and memory chip etc. with nature and human. I had a critical point of view about smart phone and have worked since 2013 but now express world which coexist IT with human because there is not able to make living in current age without smart phone.
    Along with, I will make artworks which express the beauty of korea (cool temperate climate, clear four season and EumYangOHaeng Theory etc.)

    It is able to tell my series of world in my imagery that is more putting emphasis on gratitude that paint mind than to assume the form that realistic description. In other words, the western have view of reproductive tendency but eastern is due to put emphasis on gratitude, it is able to tell artwork express oriental-sensitivity.

    In conclusion, though representative works are mainly painting, it is undoubtedly artworks influenced by a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because a Chinese painting of the northern School is put emphasis on assuming the form that paint color and form but a Chinese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is expressed gratitude that is expressed indian ink, literary paintings.

    간략한 작품 설명

    나의 심상 속 세상은 자연과 인간 그리고 IT가 함께 공존하는 세상을 말한다.
    작품소재는 미술과 시대,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삶에 대한 것이다.

    현 21세기는 코딩(소프트웨어)시대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어플 혹은 메모리칩등을 차용했으며, 이를 조형적 요소로 형상화해 나만의 시각으로 재 해석해 표현했다.

    특히, 자연의 꽃을 형상화해 표현했으며, 색과 어플, 메모리칩등 IT소프트웨어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2013년도부터 스마트폰에 대해 비판적시각을 가지고 작업을 했지만, 지금 현재 작업방향은 IT없이는 살 수 없는 시대이기 때문에 함께 공존하는 세상을 표현하고 있다. 더불어 한국의 미(냉.온대기후, 사계절뚜렷한 특징, 혹은 음양오행사상등)를 색의 느낌등으로 작품에 담을 예정이다.

    또한, 나의 심상 속 세상 시리즈는 사실묘사의 형사보다는 마음을 그리는 사의를 중시한 작품이라 말 할 수 있다.
    즉, 서양은 눈으로 그리는 재현적 성향을 가지고 있지만, 동양은 마음의 사의를 중요하기에 동양적 감수성이 담긴 작품이라 말할 수 있다.

    결국, 대표작품들은 채색위주이지만, 엄연히 남종화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라 말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북종화는 색채, 형태를 담아그리는 형사를 중시했지만, 남종화는 수묵, 마음을 담아낸 문인그림 즉, '사의‘를 표현했기 때문이다.

    Artwork - Additional explanation (Esthetics)

    We are already living in age of simulacre.
    It is simulacre in circulation of simulation which the boundary the origin between replica were already crumbling.

    "It is the reflection of a profound reality. it masks and denatures a profound reality, it masks the absence of a profound reality, it has no relation to any reality whatsoever, Here, signs merely reflect other signs and any claim to reality on the part of images or signs is only of the order of other such claims. it is its own pure simulacrum."

    Like Jean Baudrillard said, we are already living in age of that the boundary the origin between replica are crumbling. My art world is started from these logics.

    작품 - 부가설명 (미학)

    우리는 이미 시뮬라크르 시대에 살고 있다.

    원본과 복제의 경계가 이미 허물어진 시뮬라시옹의 순환속 시뮬라크르이다.

    "이미지는 실재의 반영이다. 이미지는 실재를 감추고 변질시킨다. 이미지는 실재의 부재를 감춘다. 이미지는 이것이 무엇이든 간에 어떠한 실재와도 무관하다. 이것이 바로 지시 대상도 테두리도 없는 끝없는 시뮬라시옹의 순환속 시뮬라크르이다. 무언가를 감추는 것으로부터 아무것도 없음을 감추는 것으로의 결정적인 전환이 시작된다"

    장보드리야르의 말처럼 이미 우리는 원본과 복재본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나의 작품 또한 이러한 논리에서 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