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과 진실의 세계



김이천 (미술평론가)



사람들이 얘기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마구 떠들어 대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말을 아끼면서 조심스럽게 얘기하는 사람도 있다. 유창한 화술로 얘기하는 달변가가 있는가 하면, 어눌한 솜씨로 어설프게 얘기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각기 다른 이들의 언어 속에는 진실과 거짓이 내재하기 마련이다. 말을 잘 하는 달변가의 얘기가 반드시 진실되고, 어설프게 얘기하는 사람의 얘기가 결코 거짓된 것은 아니다. 진정으로 말을 잘하는 사람은 ‘진실’을 많은 사람이 공감하도록 말하는 사람이다. 그림도 마찬가지다. 정말로 잘 그린 그림은 단지 시각적으로 예쁘게, 보기 좋게 그려진 장식적인 그림이 아니라 ‘거짓 없이 바르고 참된’ 진실을 감동적으로 엮어 낸 아름다운 그림이다.

진실은 인간에게 있어서 가장 아름다운 존재다.

아름다움을 다루는 미학에서 진실과 아름다움을 인류최고의 가치로 동등하게 인정하고 있듯이‘아름다운’미술은 곧 ‘진실’과 상통한다. 우리는 진실 되고 아름다운 얘기를 들을 때 가슴 찡한 감동을 느끼듯이 진실 되고 아름다운 그림을 보면 감동하게 된다. 이처럼 우리를 감동시키는 진실과 아름다움이 충만한 사회는 곧 우리가 꿈꾸는 유토피아일 것이다. 작가 신호재 역시 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람이다. 자신의 삶-기억과 현실, 그리고 가슴에 묻어둔 생각들을 진실 되고 아름답게 시각화하려고 노력하는 화가다 그 노력은 지난해의 첫 개인전에서 결실을 맺은 바 있다. 그때 그는 물과 불을 이용한 태우기, 뿌리기 같은 실험적 기법으로 우리가 입는 옷을 조직한 ‘씨’와 ‘날’ 같은 격자 무늬나 물방울처럼 도드라진 ‘엠보싱’ 효과를 화면 위에 연출하면서 자신의 삶과 생각들을 추상적인 이미지로 조형화 했다. 격자무늬의 직선과 엠보싱 효과의 곡면이 교차하면서 드러난 그 이미지는 딱딱함과 부드러움, 의도와 우연의 세계를 함축적으로 드러내 보였다. 이러한 상반된 이원적 세계는 작가를 포함한 인간의 내면과 세상사, 즉 삶과 죽음, 선과 악, 이상과 현실, 행복과 불행, 기쁨과 슬픔, 생산과 파괴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현실적인 형태가 전혀 없는 선과 면과 색으로 구성된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이미지 속에서 삶의 양면성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작가 신호재는 재료 및 기법의 실험으로 4년간 천착했던 추상(抽象)에다 추상 작업 이전 10년 동안 몰두했던 구상(具象)을 정리해 덧붙이는 작업을 올들어 새롭게 시작했다. 여전히 이전 작품의 특징인 격자무늬나 엠보싱 효과가 남아 있고, 그 위에 사람과 주변 사물이 구체적인 이미지로 자리하는 추상과 구상의 결합이 특징이다. 이 같은 추상과 구상의 대비로 그는 기존에 자신이 추구했던 ‘아름다움’과 동시에 ‘진실’을 표상하고 있다. 한꺼번에 아름다움과 진실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는 한계의식에서 출발한다. 인간과 세상사의 얘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내려는 그의 표현은 이미 10여 년간 다졌던 탄탄한 구상력 일 것이다. 분명한 것은 그가 그림의 가치를 진실과 아름다움의 표상에 두고 있는 점이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진실은 어두운 현실과 환함을 향한 염원이다.

격자무늬나 엠보싱 같은 추상화된 이미지 위에 욕망을 담는 항아리나 생존의 도구인 아궁이, 촛불, 그릇, 솟대 같은 희망을 기원하는 제기(祭器)들, 그리고 여인, 부부, 노인, 농악하는 사람, 아코디언 연주가의 모습들을 구체적으로 그려놓고 있다. 추상위에 어두운 색채로 드리워진 사람들의 표정은 주검처럼 싸늘하다. 그 싸늘함은 그러나 곧 희망의 노래로 전치된다. 현실은 비록 어둡지만 곧 밝은 미래를 기약하겠다는 의지가 여러 가지 제기들을 통해 암시된다. 어쩌면 이는 IMF의 한파로 실업과 불황에 빠진 실의 속에서도 꿋꿋하게 일어서려는 우리의 현실과도 흡사하다. 개인적이면서도 사회적인 의미가 짙게 깔려 있는 것이다. 염원이 상징으로 표상된 구상적 이미지들은 차분한 추상적 이미지와는 달리 매우 역동적이다. 그만큼 미래에 대한 의지가 강한 것이다.

이것이 작가 신호재의 진실이고 아름다움이다.
삶의 진실보다는 아름다움의 조형화에 방점을 찍어왔던 추상과 삶의 진실을 표상하는 구상을 한 화면에 대비, 조화시킴으로써 그는 자신의 삶은 물론 진실과 아름다움이 충만한 유토피아를 꿈꾸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