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c








“패러디, 타자와 상호 작용하는 주체"

고충환 (미술평론가)
주체란 하나의 통일된 전체로서 환원되지 않는다. 상황이 주체를 낳고 의미를 낳는다. 나는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내가 맞닥트리는 상황들로부터 매순간 새로이 태어나고 갱신된다. 나를 정의하게 해주는 의미 역시 그러하다. 나는 상호간 이질적인 타자들의 우연하고 무분별한 집합이다. 관습과 관례, 교육과 문화의 소산이며, 그 지층으로부터 건너온 온갖 차이 나는 타자들로써 구조화돼 있는 것이다. 민경아의 근작에선 패러디가 두드러져 보이는데, 바로 나, 주체, 자아를 형성시켜준 인문학적 타자들을 형상화한 것이다.

이 가운데 메인에 해당하는 작품이 (Ongoing Supper)로서, 총 세 가지 다른 종류의 버전이 제시된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패러디한 이 연작은 다 빈치의 만찬 그림이 과거형이나 완료형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임을 암시한다. 이는 미술사를 결정적인 의미로 굳어진 닫힌 체계로 보기보다는, 이를 대면하는 작가와의 만남을 통해 새로이 갱신되고 수정되고 변형되는 열려진 체계로 본 것이다. 13명의 등장인물들을 원화 그대로 재현하고 있는데, 다만 실루엣 형상으로써 인물들을 익명적인 주체들로 전환시켜놓고 있다. 그리고 그들 앞에 놓인 식탁 위의 만찬을 위해 신윤복과 김홍도의 풍속화를 차용하거나, 나아가 스타벅스와 바나나 우유 등 동시대적인 아이콘마저 끌어들인다. 종교적인 아이콘으로서의 만찬과 조선시대 풍속화 속 만찬 그리고 현대인의 만찬이 시공간을 초월해 공존하는가 하면, 동양과 서양, 고대와 현대의 문화적 지층이 충돌하고 삼투된다.

한편, 작가는 이 모든 그림들을 리놀륨 판화로 제작하는데, 회화로 그려진 원화를 일일이 판화로 옮겨 그린 것이다. 이를 위해선 회화적 표현, 이를테면 중첩된 터치와 입체적인 볼륨감 그리고 음영처리를 일일이 최소한의 면과 중첩된 선으로 옮기는 과정이 요구된다. 그 과정이 원화 그대로를 옮겨 놓는 것이 아닌 만큼 고도의 감각이 요구되며, 나아가 그 자체를 적극적인 해석행위로 볼 수 있다. 회화를 판화로 번역하고 해석하는 과정이 단순한 복제가 아닌, 재창조의 계기로써 작용한 것이다.

이로써 민경아는 복수 제작된 오리지널 이미지를 재구성하고 재배열하는 과정과 방법을 통해서 하나의 이미지가 새로운 의미, 전혀 다른 의미로 생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민경아, 이질적인 것들의 재정렬"

서성록 (미술평론가)
근래 들어 지식의 대통합을 일컫는 통섭이 폭넓은 호응을 얻고 있지만 만일 이 용어를 민경아의 작품에 적용한다면 종교와 예술의 차이, 고급예술과 대중문화의 차이를 묶어내는 말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민경아의 작품은 수법적으로 차용에 의한 재구성이 주종을 이룬다. 옛 것과 새 것을 뒤섞고 한편으로는 기존의 이미지의 재배열로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투영하고 있는 셈이다.

원작자가 다른 것은 물론이고 상반되는 내용의 전개, 다른 기법, 시제의 차이 등 기존의 명화에 이질적인 것을 충돌시킴으로써 원래의 의미내용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만들고 감상자가 의외의 사건과 마주함을 통해 현실을 곰곰이 뒤돌아보게 만든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정치한 재현과 꼼꼼한 세부처리, 고도의 감각 등은 감상의 재미도 더해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리놀늄에 새겨진 선의 자취들과 패턴들은 작가가 얼마나 조형구사에 능숙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작가는 어느 한 부분 소홀함이 없이 시종 차분하고 절제된 감각을 유지하고 있다. 전 과정이 일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번거롭고도 까다로운 공정을 거쳐야 하지만 그것을 거뜬히 이겨내는 작가근성도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거기에 적재적소의 이미지 차용과 드라마틱한 재구성까지 보태져 한편의 서사를 만들어내고 있는데 그것이 보는 사람에게는 잔잔한 울림으로 되돌아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 같다.





“피노키오의 코는 피노키오 편이 아니다"

전혜정 (미술평론가)
민경아의 작품 속에서 우리에게 익숙한 명화 속 인물들은 모두 피노키오가 된다. 그의 작품 속 피노키오는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 종교와 예술이 혼재된 존재로 그것을 통해 나약한 우리 자신을 돌아보게 된다.

속이 보이지 않고 서로 떨어진 채 각자의 삶을 영위하는 조개나 소라의 이미지 속 그의 인물들은 각각 제 모습을 어둡고 밝게 보이며 존재를 나타낸다. 가장 화려한 껍데기인 소라 껍질의 표면 안에는 욕망을 가득히 나타낸 알맹이 인물들이 제각기 속내를 드려내며 기거하고 있다. 소라 껍데기 속 저 알맹이들은 단단한 껍질 속에 숨어서 감추고 속이려고 해도 다 들여다보인다.

질 들뢰즈(Gilles Deleuze)식으로 말하면 이것이야말로 ‘욕망하는 기계(Machine desirante)’이자 ‘기관 없는 신체(Bodies without organs)‘이며, 또한 파편화된 신체가 아닌가. ”인간적 욕망을 숨기고자, 인간의 불안정을 감추고자 할수록 피노키오의 코는 나의 의지와 상관없이 나약함을 여지없이 드러낸다. 모험을 거듭할수록 성숙해지는 피노키오가 자신의 코는 자기 편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나서야, 욕망과 불안정을 인정하고 나서야, 그의 코는 모든 다른 신체의 일부분처럼 그와 한 몸인 양 얌전한 척 한다. 피노키오의 코를 찾아내는데 온 언론이 촉각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미 피노키오인 우리의 코는 길어 질대로 길어져 누구 코가 좀 덜 긴지를 놓고 싸우고 있을 뿐이다. 내 편이 아닌 내 코를 인정해 주고, 우리의 욕망과 나약함을 걱정하며, 한결 같은 사랑으로 우리를 기다려줄 제페토 할아버지는 어디 없을까.





“거짓말로 참말듣기"

류병학 (미술평론가)
베르메르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의 코에 피노키오 코를 성형하거나, 뒤러와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에 피노키오 코를 성형한 판화작품을 제작한다. 이후 그녀는 동물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접목시키고 사람의 얼굴에 피노키오의 코를 성형해 놓은 기괴한 형태를 만든다. 반인반수의 코에 피노키오의 코를 성형하여 보충-대리한다.

따라서 민경아의 ‘피노키오’는 타락한 자본주의 세상에 대해 거침없이 비판하는 빈슐뤼스(WINSHLUSS)의 피노키오와 닮았다. 왜냐하면 민경아의 <거짓말로 참말듣기>는 부조리한 세상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Copyrights © http://artcelsi.com/minkyeongah. All rights reserved.

This website is powerd by Artcel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