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효진김이순이재언박용숙박용숙이구열유홍준이경성김인환



늦봄, 새총 곰의 초대

박효진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학예연구사)



만물을 다 포용할것 같은 푸근하고 풍만한 한국의 어머니와 같은 여인상은 작가 고정수가 줄곧 추구해 오던 작품세계이다. 생명을 잉태하는 대자연의 힘을 지닌 여성 자체가 가진 풍요로움과 신비로움, 여체의 부드로운 곡선은 그의 미학의 근원으로서 50여년 동안 작가를 사로잡아 왔었다. 그런 그가 이번 초대전에 곰이라는 주제를 선택했다는 것은 획기적인 작업의 대 변신이 아닐수 없다. 수십 년간 일관성 있게 다뤄 오던 여체를 떠나 그가 돌연 곰으로 주제를 바꾸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햇살이 따스한 4월 사뭇 설레는 마음과 궁금증을 안고 필자는 경기도 양평에 위치한 그의 작업실을 찾게 되었다.

제12회 문신미술상 수상이후 11개월간 불철주야 작품제작에 몰두해 왔다는 그에게는 마치 미술계에 첫발을 딛는 신진 조각가처럼 순수함과 열정이 넘쳐났다. 뜨거운 용광로처럼 열정적인 삶을 살다간 작가 문신이 말년에 불빛조각을 창작하였듯이 그에게도 새로운 세계에 대한 욕구가 샘솟았으며 문신미술상 수상은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물론 그가 그간에 새로운 작품의 시도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그는 같은 주제속에서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었으며 특히 선화랑에서 열린 제15회 개인전에서는 전시실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벗어나 그의 딸들이라 부르는 여체 조각들을 바다와 강물에 눕히거나 하늘을 날게 하거나 실제 풍경속에서 자연과 하나가 되도록 한 그야말로 해방되어 있는 자유로운 존재로서 여체를 표현한 사진을 전시한 바 있다.

인간은 늘 인간의 육체를 이상화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기에 조각의 시작과 함께 불가분의 관계를 맺어 왔다. 그러나 앞서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볼 때 미술의 주제는 동물이었다. 선사시대의 주술적인 의미의 동굴벽화뿐 아니라 개나 말, 고양이조각상 등 원시미술의 주제는 동물이 으뜸이었다. 동물은 인체 다음으로 조각의 주체로서 자연스레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여체에 이어 곰으로, 작가는 어찌 보면 가장 보편적인 두가지 주제를 작품속에 다루고 있는 것이다.

작가 고정수와 곰의 인연은 수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지인의 요청으로 10여년전 세종시에 위치한 ‘베어트리 파크’ 의 조성에 도움을 주게 되면서 그 인연이 시작되었다.

그곳에는 150여 마리의 반달곰이 있는데 테마파크 내 조각공원에 고종수 작가가 만든 사실적인 반달곰 조각들이 ‘새총 곰 이야기’라는 동화적인 소재를 모티브로 하여 흥미 있는 스토리로 꾸며져 있다. 그 작업을 위해 수없이 곰을 관찰하면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곰의 생태는 그의 머릿속에 잠재적으로 각인되어 익수해져 있었기에 곰이라는 주제로의 변화는 어쩌면 그에게는 자연스러운 변화 일지도 모른다. 고정수는 이번 제12회 문신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에 ‘새총 곰의 초대’란 주제로 27점의 신작을 선버인다. 작품속에 곰들은 천진난만한 어린이처럼 즐거운 놀이에 빠져 있으며 단란한 가족애를 보여준다. 물구나무서기, 말뚝박기, 줄다리기, 자전거타기, 곰 결혼식, 곰가족의 포옹, 새끼곰과 장난치는 어미곰, 손으로 하트를 그리는 행복한 반달곰 가족들….이들이 짓는 행복한 미소와 꿈꾸는 듯한 표정은 보는 이에게 행복감을 전달해 준다.

예술가의 의도란 정서적인 것이어서 본인이 느낀 것을 다른 사람과 공유 하고 싶은 감정에 사로 잡힐때 그것을 표현하고 싶은 욕망을 느낄 것이다. TV, 인터넷 등 대중매체를 통해 날마다 들려오는 온갖 사건과 사고가 난무한 삭막한 오늘을 살아가는 한사람으로서 그는 주변에 따뜻한 애정과 관심의 결여에 대해 안타까워 하며 넘치는 사랑과 애정을 표현함으로써 인간성 회복을 갈구하고 있는것은 아닐까. 그의 작품속의 곰들은 사실적인 형태를 기반으로 하지만 의인화 되어 있으며 간결하고 볼륨있는 형태로 과거의 여체조각에서 보여주던 볼륨감과 부드러운 곡선의 미가 여전히 살아있다.

특히 그가 주로 사용한 흰대리석은 재료가 가진 순수함, 고운 무늬결, 부드러운 질감, 고르게 다듬어진 작품의 표면으로 인해 마치 석굴암의 불상과 같이 절제되고 그러면서도 풍요롭고 감미로운 이상적인 미를 표출해 낸다. 그의 조각에서 부자연스러움이란 전혀 발견할 수가 없다.

희랍시대부터 오래토록 미적 기준이 되어온 인체는 그의 여체 뿐 아니라 의인화된 곰을 표현한 이번 작품에도 잘 나타나고 있으며 이상적인 균형과 비례에서 오는 조화로운 통일감과 편안함이 돋보인다. 재료 자체에 내재한 성격과 작품의 주제가 절묘하게 맞아지는 이번 돌작업은 과거의 작업과 현재의 작품들을 자연스럽게 연결시키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그의 작품을 보며 우리가 행복감을 느끼게 되는것은 쉽게 인지 가능한 표정이나 포즈 등 시각적인 형태에서 비롯 되지만 촉각적인 상상력이 크게 작용한다. 작품속에는 두마리 이상의 곰가족들이 한데 엉기어 포옹을 하거나 어미 곰이 새끼곰을 포근히 감싸 안거나 곰형제들이 다정하게 나란히 붙어있다. 이와같이 친밀한 관계에서 가지는 스킨쉽은 서로의 따뜻한 체온과 감촉이 전달되어 그 어떤 말보다 안정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한다. 연인, 친구사이 부모와 자식간의 스킨쉽은 서로의 관계를 더욱 돈둑하게 만들며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여 육체적인 접촉을 통하여 정신적인 교류를 하게된다. 우리는 의인화된 곰 가족의 스킨쉽을 통하여 각자가 느꼈던 포근한 스킨쉽의 감촉을 상상하며 차가운 돌에서 따뜻한 사람의 온기를 자연스럽게 느끼게 된다.

그의 브론즈 작업에서는 보다 동적인 놀이가 표현된다. 줄다리기, 자전거타기, 등의 동적인 표현에서는 동적인 자세에 걸맞는 거친 표면의 질감이 강조된다. 몸을 뒤로 젖히고 다리에 힘을 주고 버티며 힘겹게 줄다리기하는 작품에는 채 마르지 않은 점토를 떼어 붙일때 생긴 작가의 지문까지 고스란히 남아 작품의 제작과정이 생생하게 보여진다. 알루미늄 래핑 작업에서는 거친 질감이 더욱 극대화된다. 조명에 반짝이는 구겨진 알루미늄은 가벼운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강한 에너지를 방출한다. 무엇보다 이번 전시의 큰 성과는 주제의 변화와 더불어 전통적인 재료에서 벗어나 알루미늄 래핑, 공기조형물,등 가볍고 일상적인 새로운 재료를 시도했다는데 있다.

문신미술관 전시장 입구에서는 공기조형물로 만들어진 새총을 맨 반달곰이 웃으며 관람객을 반기고 전시장 메인 홀에는 2미터가 넘는 대형 곰 4마리가 전시장을 가득 채우며 말뚝박기 놀이를 하고 있다. 놀이공원에 가면 만날수 있을법한 빨강, 노랑, 파랑, 흰색, 검정, 논색의 원색 곰들은 유년시절의 추억과 기억에 잠기며 동심의 세계로 다시 돌아가게 한다.

광고나 홍보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공기조형물은 거리의 상점앞 등 생활속에서 쉽게 만날수 있는 재료로 관람객이 친근하게 느끼는 부담스럽지 않은 재료다. 공기를 빼면 한웅큼 밖에 되지 않는 작품은 시들어가는 생명체에 새 생명을 불어 넣듯 공기를 주입하면 작품은 점차로 커져 볼륨감을 갖게 된다. 이러한 가볍고 링상적인 재료는 곰이기 때문에 주제와 잘 어우러진다.

이제 작품은 미술의 고급성을 벗어버리고 키치가 된 듯 하지만 그 경계를 무너뜨리고 자유를 갈망한 것만은 분명하다.

그렇다고해서 그가 작품속에 현대미술의 가벼움이나 저속함에 대해 비판하고 있는것은 아니다. 그는 순수하게 그가 표현코자 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재료를 선택햇을 뿐이며 이를 통해 작품의 내용은 더욱 풍부해졌다.

고정수는 현대미술의 어려움을 멀리하고 미술관의 문턱이 더욱 낮아지기를 희망한다. 가장 가까이에서 가장 친근하게 대중의 눈높이에 맞춘 작품을 추구하고 있다. ‘예술은 모든 사람이 공유해야 한다’ 는 그의 사명아래 일상적인 삶속의 소박한 소재를 통하여 관람객과 공감대를 형성해 간다. 가벼워진 재료만큼 미술의 무게도 더욱 가벼워 졌으며 관람객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섰다. 그는 행복과 사랑의 충만함을 전해 주는 전도사처럼 의인화된 반달곰을 표현한다. 그것은 곰이지만 사람이고 우리의 어머니이지 형제이자, 자식이자, 가족이며 우리의 삶을 행복하게 영위해 가는 동반자인 것이다. 우리는 정작 가장 중요한 것을 잊고 살아가는지도 모른다. 행복하기 위해 살아가고 있지만 반복되는 일상에 지치고 물질을 위해서 타인을 이용하고, 남을 배려하지 않고 만족을 모르고 욕구를 더 충족시키기 위해서 건강을 해치고 가족을 돌보지 않고 여유와 감사함을 잊고 있다. 그는 그런 우리의 복잡한 정신을 환기시킨다. 냉혹한 머리가 아니라 따뜻한 가슴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어머니의 품속과 같은 따뜻함으로 어릴적 아무것도 모르던 순수한 마음으로 돌아가 보기를 권유한다, 우리를 가장 원초적이고 순수한 상태로 안내하여 우리의 정신이 맑게 깨어나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이 미술의 보이지 않는 작지만 큰힘일 것이다.


An Invitation of Slingshot Bear in the Late Spring

Park Hyo Jin (Curator, Changwon Municipal Masan Moonshin Art Museum)



His image of a Korean woman who is inviting and voluptuous as if she can embrace everything in the Universe in her arms is the topic constantly pursued by Artist Koh, Jeong Soo. The abundance of woman's eternal wonders and mother nature and its interruptions has captured Koh Jeong Soo for over 50 years. The smooth and rough surfaces that translate the mood of women and nature is the new theme of his work for the invitational exhibition.

What is the reason he has deserted his signature sculptures of the "female form"? Why he has left the female form, which has shaped and been his topic of choice for decades? On one sunny day in April, I visited his studio in Yangpyeong, Gyeonggido with excitement and curiosity in my heart and mind, to discuss his new direction and theme. In our meeting, "he explained that he has concentrated on creating artworks day and night for the past 11 months since receiving the 12th annual Moonshin Art Award back in May of 2013. Koh Jeong Soo's energy and passion during our conversation reminded me of a new sculptor just getting ready for his first show. Just as Moonshin, the artist known for his passionate life as a hot furnace, created the sculpture of light in his later years. Koh had a new desire to create something new after receiving the Moonshin Art Award. This event triggered a new challenge for Koh Jeong Soo, to bring new direction and materials to his work. This is not his first attempt to offer a different direction and vision of the female form and its complex textures and stature. For his 15th solo show at the Sun Gallery, he took photographs of bodies lying on the sea or river or flying through the sky as free form objects, and pushed his vision for sculpture to through another medium.

Human body forms and sculptures has a long inseparable relationship since the birth of sculpture, going back to the prehistoric times along with animals. The majority of themes of prehistoric art were animals' not only on murals with shamanistic meanings but also sculptures of dogs, horses, and cats and its relationship to humans. Animals are naturally accepted as the second most popular theme in sculptures after the human body. Koh has been working with the two major topics; the human body and animals for decades and redefying these topics on his own terms.

Koh's special relationship with bears goes back a decade when he was requested by an acquaintance to help build 'Bear Tree Park' in Sejong City. There were about 150 Asian black bears residing at the park along with realistic sculptures of Asian black bears in the sculpture garden. The park tells an interesting story inspired by the fairy tale titled 'The Story of Slingshot Bear'. While spending hours observing the bears for this sculpture, Koh became familiar with the ecology of bears which transitioned his themes to address nature and relationship to our daily life.

Koh presents 27 new pieces on 'An Invitation of Slingshot Bear' as the Invitational Exhibition Winner of the 12th annual Moonshin Art Award. The bears in his works are enjoying playful activities as innocent children. The works capture- Bears spending happy times with their families, Hand-standing bears, bears playing horse-riding game, bears at tug-of-war, bears riding bicycles, bears at a wedding ceremony, the hug of a bear family, the mother bear playing with her cub, and a happy family of Asian black bears drawing hearts with their hands. Their happy smiles and dreamy faces bring pleasure to the viewers. The intent of an artist's work always draws an emotional reaction from the audience and no experience is the same. The translation of the artist's intentions through different media and expression and how this is shared through works of art is a process on its own.

As a member of society and witnessing various unfortunate incidents and issues on TV and social media, he maybe is addressing the lack of warmth and seeking to preserve the goodness of human nature. The bears in his work look realistic, but their personified gestures and simple voluptuous figures still convey a relationship to the female body forms. The white marble he has used symbolizes purity; similar to the ideal aesthetics of the Buddhist statue of Seokguram. The human body, which has been the standard of beauty since the Hellenic Period, is clearly represented by his female sculptural forms. The personified bears express the harmonious uniformity and comfort with ideal balance and proportion. The stone works exquisitely enhances the inherent property of the material and bridges Koh's past sculptures to the present.

We feel happy looking at his work mainly because of the visual from of facial gestures and poses but it is also largely influenced by the imagination. There are two or more bears hugging together, the mother bear hugging her cub, or the friendly bear brothers sitting together. The intimacy and closeness shared in some of the Koh's works cannot be expressed by words atone but through visual experience of space and materials. The intimacy shared between lovers, friends, and family solidifies the relationships and brings emotional stability in our world. The physical contact leads to emotional interaction and we can imagine the feeling of warmth that is transpiring between the bears though the coldness of materials.

From Koh's bronze works express more dynamic games and gestures of the bears. The actions of tug-of-war and riding bicycles translated by the rough textural surfaces match the dynamic figures of the bears. He transitions to a new material of aluminum wrapping to maximize the rough texture. The wrinkly aluminum shining under the lighting emits a strong energy despite its weight. The biggest accomplishment of this exhibition, above all, is the change of theme and unexpected use of materials. He has taken mundane materials such as aluminum wrappings and air filled balloon's instead of traditional materials related to previous sculptures.

At the entrance to the exhibition space at Moonshin Art Museum you are greeted with colorful air balloons of bears that are welcoming and ignite your memories of being in an amusement park as a child. The bear batons deflate down to a hand size package without air and gradually gain volume when inflated as if they are born again. This light and mundane material goes well with the theme as this welcomes the audiences to enter and experience the show. It seems that Koh has taken his work and ideology of luxury sculptures and has blurred boundaries in search of expanding the boundaries of highbrow and low brow art. His new work does not challenge the kitsch factor of contemporary art but exploring new ideas and materials in transitioning his new theme and sculptures.

Koh pursues to create works that will resonate with every class and every race. He pursues to create artworks that can be viewed and understood by everyday ordinary people. He asks his audience to think about their daily life and daily support of people around you. The different sizes of the bears represent not only mother nature but signifies our mothers, brothers, sisters, family and friends. Koh's mission statement is, "Art must be shared by everyone."









물구나무 서기-2, Handstand-2, 76 x 47 x 28cm 알미늄 래핑 Alumium Wrapping 2014





박효진김이순이재언박용숙박용숙이구열유홍준이경성김인환



고정수의 조각 30년의 路程

김이순 (문학박사/미술평론가)



조각가 고정수가 15번째 개인전을 갖는다. 개인전 횟수로 보나 작가로서의 연륜으로 보나 고정수라는 작가는 한국현대조각사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새로운 세계에도 도전하는 젊은 작가들 처럼 끊임없이 긴장을 하며 작업에 전념하고 있다. "여체는 내게 모티브가 아니고 주제이며 내 제작행위의 생명이다….. 여체는 해도 끝이 안보이는 숙제" 라고 그가 자주 언급했듯이 이번 개인전에서도 여성상들을 보여주고 있다.

선화랑에서 열리는 이번 개인전 역시 완벽주의자 답게 오랫동안 철저하게 준비한 전시회다. 특히 올해는 그가 회갑을 맞는 해로, 지난 30여년간의 작품활동을 반주해 보는 입장에서 그간의 작품활동의 노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입체작품과 평면(사진) 작품으로 나누어 전시되는데, 우선 전반부는 지금까지 그가 작업해 온 방향과 같은 선상에서 돌과 브론즈로 된 여성누드상들을 전시한다. 후반부는 사진작품인데, 평소작품이 완성되면 사방에서 촬영해 두었던 사진과 우리나라 산천을 촬영한 사진을 포토샵으로 조합한 평면작품들을 선보인다.

그는 1966년에 대학에 입학한 이래 현재까지 여성상 제작에 진착하고 있다. 그의 인물표현의 변화를 잠시 살펴보면, 대학에서 조각을 공부할 때는 서구적 미의식이 반영된 여성누드상을 제작하였다. 당시 미술대학에서는 인체조각을 통해 조형언어를 익히던 시절이였기 때문에 고정수 역시 이러한 범주안에 있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서구적인 미감에서 벗어난 한국적이고 향토적인 미감을 찾아 나갔다. 그리고 1980년대의 ‘자매’ 연작에서는 비교적 운동감이 있고 인물표정에서 감정이 직접적으로 표출되기도 했지만 대체로 그의 인물들은 조용하고 사색적이다. 그렇다고 무거운 사색은 아니다. 조용하면서도 희망과 환희가 내포 되어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평온함을 느끼게한다.

그가 창안해낸 5~6등신의 인체비례와 허벅지와 엉덩이 부분이 풍만한 인체표현은 전통적으로풍요 다산을 상징하는 여성상의 연장선에 있으면서도 신라시대 삼화령 불장이나 조선시대의 왕릉앞에 서 있는 석인들의 인체 비례를 연상시킨다. 이러한 인제비례나 풍만한 여성상은 서구화 된체형과 다이어트가 유행하는 요즈음의 '한국적인 여성상’과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정수의 여성상들이 한국적인 여성상으로서 변함없이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은 우리의 내면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여성’, ‘고향’, ‘어마니’ 에 대한 기대가 여전히 따뜻함과 푸근함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의미한다. 즉 미술작품은 외형에 머무는것이 아니라 사희적 정서와 내면의식을 담고있기 때문이다.

고정수가 1970년대 이후 계속해서 추구해 온 한국적인 미감은 이미 그 이전부터 그의 의식속에 내재 되어 있었다. 그는 한국의 전통미술은 물론 한국 근대 조각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의 석사학위 논문은 김복진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의식의 토대 위에 한국적인 미의식이 반영된 누드상이 도출된 것이다. 그리고 1960-70년대에 구상 조각에 천착했다는 사실 또한 주목해야 할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 미술계는 서구 미술과 추상미술을 지향하고 있었지만, 권진규와마찬가지로 고정수는 구상조각에 전념함으로써 한국미술계에 구상 조각이 뿌리를 내리는데 견인차 역할을 했다.

이번 개인전에서는 지난 30년을 조망할 수있으면서 동시 그의 새로운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전시 후반부에서는 사진작업을 선보이게 되는데, 그간 제작한 3차원적인 조각작품을 사진으로 찍어서 자연의 풍광속에 배치한 사진작업이다. 고정수라는 작가를 알고있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사진작업에 의아해 할 수도 있겠지만, 엄밀히 말하면 사진작업 역시 그의 조각작품의 연장선에 있다. 다시말해 비록 가상의 작업이긴 하지만 그간 그가 제작해 두었던 여성상들을 산과 들과 바다로 나들이 보내는 작업이다. 그는 평소 조각작품을 제작하면 사방에서 사진을 찍어 보관해왔다. 이 사진들을 풍경을 찍은 사진과 포토샵으로 조합시킨 작품이다. 이러한 작업을 하게 된 계기는 한 친구가 작업실 컨테이너 안에 빼곡히 들어차 있는 수백점의 여성상들을 보고 가둬 두었다" 는 표현에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그의 여성상들은 각각 자신들의 모습을뽐내려는 듯 포즈를 취하고 컴컴한 컨데이너 안에서 결국 갇혀 있는상황이 되었던 셈이다. 같으면 농담으로 무심코 들어 친구의 말에 고정수는 귀를 기울었다. 그는 돌로여성상을 만드는 작업은 ‘ 돌속에 갇힌 인간 하나의 생명을 시킨다" 고 생각해 왔는가 하면, 자신의 작품들을 "딸들’이라고 표현해 왔던 터라친구의 말은 큰 충격으로 다가왔던 것 같다. 그는 자신의 딸들을 외출시키기 위한 작업을 지난 1년간 매달렸다. 우선 우리나라 전국의 산천을 돌아 다니며 직접 사진을 찍었다. 주로 산, 바다, 하늘등을 찍었고 이것을 배경으로 해서 자신이 소장하고 있는 조각작품과 조화를 이룰수 있도록 포토샵 작업을 했다. 누구의 손을 빌리지않고 자신이 직접 작업을 했는데, 여성상들은 바다나 강물위에 누위 있기도 하고 멀리 낙조를 바라보며 앉아 있거나 서 있으며 때로는 하늘을 시원하게 날기도 한다. 정교한 포토샵작업으로 실제사진과 작품사진이 어우러져 있어 얼핏 실제 풍경사진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가 아닌 가상의 공간으로, 때로는 낭만적이기도 하고 때로는 초현실적이기도 한 독특한 사진 작품들이 완성되었다. 그의 여성상들은 더 이상 갇혀 있는것이 아니고 자연과 교감하게 된다. 이러한 사진작업은자연 환경을 살리기 위해서 자연속에 조각작품을 놓는 '환경조각'과는 다르다. 오히려 조각작품을살리기 위해서 자연환경을 설정해 놓고 있는 것이다.

얼핏 포토샵은 젊은이들의 영역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수는 환갑의 나이지만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기 위해 손수 포토샵 테크닉을 배웠다. 마르셀 뒤상 이후 현대미술가들은 아이디어를 중시하게 되면서 기술적인 문제는 흔히 다른 사람의 손을 빌린다. 그러나 고정수는 컴퓨터 학원에 다니면서 직접 포토샵 기술을 배웠고 사진으로 프린트하는 과정까지 직접하여 자신의 감성을 현대적인 기술로 표현하고자 했다. 이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도전은 아닐것이다. 이미 자신의 미술세계가 구축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새로운영역을 시도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닐것이다. 그는 결코 안주하지 않는다. 앞으로 그가 어떠한 도전으로 창작의 폭을 넓혀갈지 자못 기대된다.


Koh Jeong Soo : The 30 Years of Journey in Sculpture'

Kim Yisoon (Doctor of Philosophy in literature/Art Critic)
Translation: Paek Jongmin, Ph. D candidate in Korean Studies (Korean Contemporary Art History)



Koh Jeong Soo is having his 15th one man exhibition. Certainly, Koh's name is firmly engraved in the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Whether looking at the record of his numerous one man exhibitions or his longevity in his carrier as an artist. He continuously focuses on producing artwork with such an intensity as if he were still a young artist who were just starting out in producing his first piece, wholeheartedly challenging a brand-new world. As Koh frequently stated, " in my artwork, the female figure is not a source of motivation; It is the subject as well as the life force of producing a work that is forever endless in challenging." In this exhibition, it is once again, the images of women that prevail their meaning in various ways.

One man exhibition, that opens at Sun Gallery once more shows Koh's perfectionist's trait, his long and meticulous preparation of making works for an exhibition. This is a special year, though, as Koh Jeong Soo is celebrating his (Hwan-gab) his 60th birthday (according to traditional Korean age counting). Therefore, this exhibition is organized to give an overview of his artwork of the last three decades.

The exhibited artworks consist of three dimensional pieces as well as works with flat surface. Among these, photography is a new genre for the artist. The part one of the show displays his stone and bronze female nude sculptures while the other part consists of photography and digitally altered images. The photographic artworks include images of his own sculptures that were photographed upon completion as well as Korean landscape photos that the artist took, applying Photoshop software to create certain visual effects.

From his early college years until today Koh has mostly been focusing on female figure sculptures. Of course, many changes in artistic expression must be noted. During his university years, Koh was taught to make sculptures through human figures following Western aesthetics. Starting from late 1970's, however, he began searching for a more Korean aesthetic concept. His 1980's "Sisters" series shows an array of facial expressions which ranges from passion to reflective Calmness, expressions that are always full of hope. Koh's concept of a 5-6 proportion in the human body and exaggerated thighs and buttocks in female sculptures reflect prehistoric images that symbolize fertility and reminded of the Silla Samhwaryong Buddha or the stone sculptures of human guards in front of some royal graves rom the Yi-Dynasty. These images he created are far from contemporary Korean woman's ideal of a westernized, diet oriented figure. Ironically, Koh's full and generously shaped female figure images have been 'steady' in favor of many, perhaps due to our deep desire that is rooted in a warmth and abundance that comes from familiar definition of 'female,' 'home,' 'mother1 as somehow, Koh's artwork is connected with emotions and internal awareness of Korean society.

As we can detect through his sculptural work, Koh Jeong Soo searched for modern expressions of Korean aesthetics since the 1970's. We also see such awareness in his special interest toward Korea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culpture (Koh's MA. thesis was about the famous leftist Korean sculptor Kim Bok-jin). Koh's sculptural work was based on such foundation and his esthetic point of view was reflected in these sculptures. What is notable is the fact that during the 1960's and 1970's, Koh focused on producing figurative sculptures while the majority of Korean Artists was immersed into abstract art. Just like Kwon Jin-kyu, Koh Jeong Soo continuously focused on producing figurative sculptures in his own way, this creating his very own nitch in the history of figurative Korean sculpture.

It is already mentioned, not only are we in this show confronting Koh's work of some 30 years, but the artist also introduces us to his newest adventure. The second part of exhibition shows photography. These photos include photos of his sculptures which are than incorporated into other landscape photographs. Someone only accustomed to Koh's sculpture might wonder about these photographs. Yet, in a sense, this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his sculptural work. Koh is just sending his female sculptures to pre-made photography sites with mountains, fields, and the ocean.

Koh has been taking several photographs of his sculptures when the works were completed. He applied Photoshop computer software to create digital images and then incorporated his sculpture and landscape photos. According to Koh himself, the beginning of his digital photography started this way: One day, the artist was shocked to hear one of his friends saying how Koh is imprisoning his female sculptures, referring to several hundreds of sculptures densely stored in his studio. In Koh's sense, these works sitting in the studio are carrying their own artistic qualities. But indeed, they were carefully kept in a dark container room.

Perhaps, it was his friend's joke to say these sculptures are imprisoned, but Koh took it deadly serious due to the fact that he had frequently referred to his act of sculpting a figure out of a stone as liberating a human trapped in a stone. Koh was even calling his sculptures his daughters," and therefore, his friends remark really shocked him. Koh spent the whole last year taking his 'daughters' out. First, he took a trip to the mountains and rivers of Korea, taking landscape photographs. Most of the photos he took were mountains, seascapes, and the sky. And then, he applied Photoshop software to use these images as a background for images of his sculptures. These images were all done by Koh and the finished Photoshop works included female sculptures laying on the sea or a river, sitting or standing, gazing at the sunset, and sometimes looking as if they are flying in the sky with all their power. At first, glancing at these photos appear to be actual landscape photographs. The Photoshop technique of merging images serves its purpose well, creating unique images that create a romantic and sometimes surreal aura. Koh's female images are no longer imprisoned; Now they intertwine with nature. The viewers can detect Koh's digital photographic works are entirely different from the 'environmental sculpture1 put into nature and claimed to revive natural environment. Interestingly, Koh's unnatural selection of a natural environment rather enhances our senses in understanding the reality created by the artwork.

Photoshop software could be taken as being within the domain of youths. Koh Jeong Soo, however, despite his Hwan-gap age, found himself challenged to learn all the Photoshop techniques. Ever since Marcel Duchamp, modern artists took ideas important and borrowed other hands to complete the production phase. Koh Jeong Soo took a Photoshop course at a small neighborhood private school and learned such techniques to be able to work with digital photo images and even print out the final product in order to express his creativity through modern techniques. This sure may not be called an easy task for someone who is so firmly established as Koh is all to seek out new territory. But Koh never rests. It should be interesting to see in how Koh will further challenge his own creativity.












象86-5B, Figure 86-5B, 110 x 150cm, Archival digital print, 2007





박효진김이순이재언박용숙박용숙이구열유홍준이경성김인환



절제된 형상에 散布된 우리다움의 정서

이 재 언(미술평론가)



필자가 조각가 고정수의 작품세계에 깊은 관심을갖게 된 것은 지금부터 4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스터디 그룹인 한국성 미술 연구회 일원으로 서로 만나면서 ‘우리다움’이라는 관점에서 그의 작업을 면 밀하게 관찰하기 시작하였다. 우리 현대미술에 산재해 있는 우리다움을 추출하여 주체성과 뿌리가 있는 미술을 확립하고자 하는 열망이 고조되어 있던 당시, 그의 작품들이 어떤점에서 우리다울수 있는 지 관심 있게 생각해 보았다. 그러나 그의 작품이 전체적으로 주는 인상과 한국성 혹은 우리디움 이라는 것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보였다. ‘도대체 한극성이라는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어떤점들이 그의 작업을 그렇게 해석할 수 있게 하는가’ 하는 화두앞에서 적지 않은 고민을 한 바 있다. 한국성이라는 관점에서 기술된 글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것은 96년 발행된 그의 화집에 실린 박용숙 님의 작가론이다. 고정수의 조각이 어떻게 한국적일 수 있는지를 밝히기위해 그의 조각과 우리 전통미술사 내의 구체적인 작품과의 연관상을 상당히 분석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작가의 조각은 석굴암 본존불의 절제, 신윤복 여인상에서의 볼륨 등과 어느 정도 상통한다고 보고는 있지만 그렇게 확실성을 가지고 확신있게 제시되고 있지는 않는것 같다. 물론 그가 불교조각 보다는 주술적이고 민속적인 조각의 것과 더 가까이 가 있음을 밝히고 있는 가운데, 그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제시하지 않고있다. 아마도 제주의 돌하루방 같은 것들이 그것 아닐까, 이밖에도 복스러위 보이는 둥글넓적한 얼굴, 6등신의 작달만한 여체, 작품들 전체에 흐르고 있는 고졸의 미소 우리땅에서 채석된 화강암의 질박한 마티에르…. 등이 무언가 우리다움을 확신 시켜 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만약 그의 작품들이 한국적이라는 관점에서 해석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것이 무슨 장애가 될 수 있는가. 그렇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기술의 문제이지 궁극적 가치의 문제로 비약될 수는 없을 것이다.

솔직히 우리다운 미감과 형식으로 성공한 사례도 많지만, 그러한 강박관념 때문에 어색하고 촌스러위지는 경우도 적지 않으니 말이다. 오히려 쉽게 잘 드러나지 않는 것이 차라리 더 신뢰 할 만 하다는 역설이 적어도 이런 문맥에서는 설득력을 얻을 것 같다. 사실 전에 그의 작품을 우리다움이라는 문맥에서 해석하는 것이 그리 잘 내키지는 않았다. 필자의 눈에는 우리가 익히 보아 왔던 전통미술 내에서의 조각 작품들과 근친관계를 가질만한 것들이 선뜻 잘 연상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그의 조각은 오랫동안 시종 볼륨이 풍부하고 건강해 보이는 모습을 띠고 있다. 평생 고집스럽게 여체만을 풍만하게 다루면서도 결코 에로틱하거나 혹은 화려하지 않은 작품들로 편안하고도 절재된 이야기가 돋보이는 작가다. 요즘같이 취미의 권태가 심하고 잦은 변화들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그의 고집스런 면이 답답하게 비쳐질 수도 있을 것이다. 사실 변화를 위한 변화, 표피적인 변화를 추종 하는 것이 오늘의 추세인 점을 감안하면, 그의 일관된 세계는 정말 특이한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는 오히려 우발적이거나 조작적인 변화에 대해강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그의 세계가 변화에 등을 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그는 진정한 자기 정체성을 향해 진지하고 면밀하게 자기 갱신을 끊임없이추구해 왔던 것이다. 진지하고 면밀하다는것은 나 혹은 우리를 과거에 만이 아니라 바로 오늘에도 균등하게 대입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인류의 미술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체, 특히 여체를 다룰 때 대체로 풍만하게 표현해 왔다.원시미술 이나 고대미술은 다산이나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 동기를 지니고 있으며, 르네상스 이래 미인에 대한 기준이 풍만함에 있었다는 점도 어느 정도 설득력을 지닌다. 그러나 오늘은 우리가 여체를 다산이나 풍요의 주술성을 필요로 하는 때도 아니며 풍만한 볼륨을 미인의 기준으로도치지 않는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도 많은 작가들이 대상을 보다 풍만하게 변형시키고 있는것일까? 그렇다면 분명히 다른 동기들이 있다고 보는것이 타당 할 것이다. 주술성의 필요나 미인관이 상이한 데도 지금도 다수의 작가들이 인체를 풍만하게 다루고 있으며 그러한 경향들이 상당한 성취에 이르고 있는데는 크게 두가지 동기들이 있다고 본다.

첫째는 시지각적 동기이다. 비록 인체조각이 사람 형상을 모방 혹은 재현 했다 하더라도 그 작품에 대한 경험은 늘씬한 실제 미인들의 모습에 대한 경험과 등가적이지는 않다. 이 차이는 거의 선험적 영역의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 경험은 인체에 대해 생명과 운동의 맥락에 따라 작용하는데 비해 조각에 대해서는 공간과 질료, 구조의 맥락에 따라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조각작품의 경우 일정한 육면체나 球體와 같은 양괴체에서 시작된 것이며 이에 우리의 시지각은 돌출 자체를 꺼리며 바로 이전의 양괴체로 환원 시키고자 하는 성향들이 작용하기 마련이다. 브링쿠지의 키스하는 사람이 하나의 덩어리로 지각되는 그루핑의 법칙과도 같은 모종의 시지각현상이 특히 회화나 소조보다는 조각에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공간적 맥락에서는 인체 각 부위에 있어서도 적절한 비례가 요구될 수 있다. 고정수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조각적 풍만함 역시 비만현상 이라기보다는 시지각적 안정의 성향을 위한 장치라는 맥락으로 보는 시각이 더 지배적이다. 생명과 운동을 기능으로 하는 인체는 그 비례적 격차가 심한데 비해, 공간적 기능을 하는 조각작품의 경우는 비례적 격차가 적절한 황금 분할에 가까운 것을 필요로 하게 된다. 전체크기, 팔, 다리 등의 부위도 비숫한 양상을 보이게된다. 또한 재료의 질료적 성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면 클수록 재질 자체가 가지는 물리학적 내지는 화학적 한계가 시지각적으로도 일치하기 마련이다. 간혹 옥 공예가가 덩어리를 가늘게 깎아 핸드백 줄로 만든 경우 그 놀라운 솜씨에 감탄 하지만 어딘지 모르게 불안해 보이는경우도 있는 것이다. 이런 시지각적 동기는 자연히 대상을 왜곡 혹은 변형으로 나타나게 하며 그것이 오히려 조각다움으로 경험된다. 따라서 비숫하게 풍만한 인체 표현을 하였다 하더라도 그 결과는 상당히 상이하게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고정수가 보여주는 풍만한 여체는 분명히 시지각적인 동기에 의해 펀안하하고 친근하면서도 차이를 띤다.

둘째는 퇴행적 동기이다. 고정수의 작품이 마이욜이나 멕시코의 주니가, 보테로등의 넉넉한 인체 표현을 하고 있지만 하나같이 그것을 비만으로 받아들이는 경우는 드물다. 바로 이 퇴행적 동기라는 것은 대부분의 작가들이 경험하고 있는 동기이기는 하나, 고정수의 작품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비교적 강한편이다. 또한 이 점이 바로 그의 유니크한 조형 세계를 가능케 해주는 것이라할 수 있을 것이다. 발달심리학이나 정신분석학에서 보는 퇴행이란 일종의 부적응현상으로 설명되고 있다. 따라서 오히려 부정적인 행동 양식임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예술에서는 그것이 오히려 긍정적인 가치 계기로 용인되고 있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젼의 단계로 돌아가고자 하는 심리 기제는 오늘날 프리미티비즘이나 초현실주의 경향에서 아주 잘 드러나고 있다. 그렇다고 작가가 이러한 경향들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단정하는 것은 곤란 할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그가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고자 할때 유아적인 충동 혹은 요소들에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두뺨은 문자그대로 복스럽다고 하는 오동통한얼굴, 순진하기가 이를데 없는 순박한 표정, 6등신의 짤막한 키, 젓살이 빠지지 않은 것 같은 포동포동한 살결, 몸집에 비해 덜 발달한 가슴, 짤막한 단발머리 등은 보다 어린 연령을 짐작케 한다. 그러나 중요한것은 작가가 나이를문제 삼지 않고 유아적 요소를 결합시켜 대상의 평화롭고 안정적이며 포근하며 친근함을 목적으로하고 있다는 점이다. 바로 이러한 의도의 결과로 유아 내지는 아동적인 요소들이 션택된 것으로 보인다. 이도 역시 작가에게는 변증법적인 과정 및 재료 선택과도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80년대 초를 전후로 한 때의 작품들은 몸집이 크고 8등신의 볼륨 굴곡이 크고 시원 시원한 몸매의 여체들이 많으며 동작도 활력적인 것으로 돌출이 상당히많다. 특히 브론즈 작품일때 그렇다. 그러나 8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부터는작가의 트레이드마크가 된 예의 6등신 여체로 전환 (어떤점에서는 70년대말의 것으로 복귀한 것이기도 한)하게된다.

작가는 점차 최근으로 오면서 토속적인 자연미와 조금은 거칠면서도 투박한맛을 추구한다. 대작인 2인 군상 '함께 가는세상은 아름답다 – 5” (98, 화강암)의 경우 완상도와 기교를 절제시키면서도 바로크적인 회화성이 강화된 것이다. 난이도가 훨씬 심한 오석, 상주 청석 등의 화강암으로제작된 작품들은 휠씬 토속적이며 절박한 마띠에르를 통해 자연미와 함께 깊이를 성취하고 있다.게다가 작품마다 독특한 명제가 붙어 있는데서 알수 있듯이 작가는 작품들을 통해 내면 깊숙한 이야기들을 일정한 운율이 있는 정형시로 담아 내고자하는 의지로 가득 차 있는 것이다. 작가는최근 테라코타를 새롭게 선보이고있다. 일찍부터 원형이나 마케트를 잘 보존해 온 작가는 그동안의 작품들 가운데 흙작업이 용이한 포즈만을 선택하여 테라코타로 다시 작업을 한 것이다. 돌 가운데서도 색과 성질, 질감 등에 민감한 그의 감각은 흙에 대해서도 예민하게 작용한다. 산화 소성과 환원 소성을 고루 활용하여 폭넓은 흙의 감성을 통해 편안하게 다가오는 또다른 안식의 조형을 일군 것이라 할수 있다.

필자는 오랜 작가의 예술 역정을 통해 이제 ‘우리다움' 이라는 화두에 어느정도 직관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 것을 가시적 형식으로 열거하려 했을때, 지나치게 양식화 되거나 혹은 이데올로기가 될 가능성도 충분히 확인 할 수 있었다. 문제는 경험적으로 숙성되지 않은 우리것이라는 것은 설익은 개념의 차원에만 머물기 쉬우며, 알맹이가 없는 표피적 슬로건의 것이기 쉬운 것이다. 우리의 삶과 시대 정신, 미의식의 맥락들을 자기 정체성에 충실하게 대입시키고 그것들이 경험적으로 숙성 되었을때, 그것은 직관적으로 그리고 감성적으로 교감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히려 요란한 구호와 이념화된 담론들을 경계해야 하는 때가 바로 지금이 아닐까.

이런 점에서 고정수의 작품들에 던진화두의 실마리가 조금 잡히기 시작한 것이다. 그동안 우리 주변엔 지나치게 가시적이고 양식적인 것만을 추구하였던 작가들이 있다. 모든 선입견과 전제들을 정지시킨 채 순수 감성과 직관으로 접근하는일을 망각한 채 말이다. 그러나 고정수의 작업은 아무런 전제 없이 일단 편하게 만날수 있는 것으로서 성취를 이루고 있으며, 메마른 우리의 정서에 촉촉한 감성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게다가 그는 우리 공동체의 미감적 원형 같은 것들을아주 은밀하게 두루 분포하고 있으니 하나 둘씩 찾아내고 섭취하는 일 또한 기쁘지 않은가.












먼 하늘을 보며 - III(Looking at the sky afar - III), bronze, 31 x 21 x 22cm, 19kg, 1999





박효진김이순이재언박용숙박용숙이구열유홍준이경성김인환



고정수의 우리다운 모성상(母性像)과 그 넉넉함의 세계

박용숙 (미술평론가)



1. 들어가는 말
불상 시대가 사라진 후 우리나라의 조각사는 그 시침을 잃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말을 실감 있게 이해하자면 문인화가 보급되고 그 미술적인 행위가 심도 있게 논의되던 시대에 조각이나 소조에 대한 그 어떤 실질적인 행위는 고사하고 그럴듯한 쟁점이 하나도 없었던 사실을 상기해 볼 필요가 있다. 물론 유교와 불교는 상대적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서로 다른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참작해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불교는 유교보다 정신적이고 유교는 불교보다 실제적인 측면을 갖고 있어서 서로 다른 입장에서 삶의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유교 문화가 꽃피던 시대에 불상이 들어설 자리가 없었다는 것은 그러므로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사실은 유교 문화가 완전히 퇴색했던 20세기 초에 이르러 우리는 전통적인 의미의 화가를 만날 수는 있었지만 그럴 만한 조각가는 만날 수 없었다는 사실이다. 이 점은 전통과의 단절에서 출발한 오늘의 한국 조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문제점이 되기도 한다. 낡은 문명이 사라지고 새로운 문명이 도래하는 시기를 전환기라고 부르고 이 전환기에 새로운 미술 양식이 비전이 있는 예술가에 의해 창작된다는 것은 하나의 공식이다. 따라서 진정한 의미의 예술가란 전통과 현대 사이에다 훌륭한 다리를 놓는 능력을 지녔음을 뜻하며 이때 다리는 일방통행이 아니라 왕복의 기능이어야 하므로 전통과 현대를 이어 놓은 다리는 전통과 현대 사이에서 기묘한 작용을 하게 된다. 그것은 어느 쪽이 다른 어느 쪽을 버리기 위한 장치가 아니다. 서로의 왕래를 통해 보다 완벽한 것을 얻어내는 장치인 것이다. '전통과 현대'라는 전환기의 논리 속에는 이렇게 미묘한 변증법이 있으므로 어떤 형태이든 미술사는 그 나름의 변증법적인 논리를 보여주면서 변화의 국면을 남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조각사가 불상 조각에서 단절되었다고 말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보기 때문이다. 우리의 입장에서 볼 때 현대의 조각가는 진실로 살아 있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통과 진지하게 부딪쳐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통 정신을 완벽하게 정복해야 한다.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풀지 못하고서는 올림포스의 다리를 건널 수가 없는 것처럼, 전통을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현대라는 올림포스의 새집으로 들어설 수가 없는 것이다.

조각가로서의 김복진의 실패도 바로 이 점에서 발견된다. 그는 불상을 만들었지만 진실되게 불상의 세계를 이해하지 못했다. 바로 그 이유 때문에 그는 '피리 부는 소년'을 제작하고서도 더 이상 작품 세계를 전개하지 못했다. 현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을 완벽하게 소화해야 했는데도 그렇지 못했던 것이다. 그런 결과 전통과 현대는 그에게 있어서는 변증법적으로 연계되는 관계항이었던 것이 아니라 어느 쪽이 다른 어느 쪽을 버려도 상관이 없는 별개항이었다. 그가 최초의 근대적인 의미의 조각가이면서도 전통과 현대 사이에다 다리를 놓지 못한 것은 그만의 불행이 아니라 우리 조각의 불행이기도 한 것이다. 우리의 전통이 우주적인 것에 기초한다고 이해한다면 현대는 부분적이고 미시적인 시각에 집착한다 말할 수 있다. 불상이 우주의 축소판(니르바나)이듯이, 전통에 있어서 인체는 소우주로 이해되었다. 천체속에 해와 달과 별 등이 있듯이 인체 속에 해와 달과 별 등이 있으며 그것들은 혈류를 통해 천체와 마찬가지로 운행하고 있다. 인체의 매듭을 360개로 보거나 경락을 통해 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등의 발상은 무엇보다 그 점을 뒷받침한다.

인체를 이렇게 이해하게 되면 우리의 몸은 실은 나 개인의 소유물이 아니라, 처음부터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존재하는 작은 우주이고 절대적인 존재인 것이다. 조선시대의 화가들이 인물을 그리면서 얼굴에만 역점을 두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인체가 소우주이고 얼굴은 그 인체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런 생각은 이집트나 헬레니즘 시대의 인체 미술에서도 공통으로 나타난다. 얼굴을 파악하면 그 사람의 전부를 파악 한거나 다름없었으므로 화가는 얼굴의 표정, 특별히 눈을 정밀하게 관찰하고 묘사함으로써 인물화를 완성했다고 믿었다. 이렇게 그린 인물은 대체로 얼굴만이 묘사되고 몸은 간단한 선으로 처리된다. 얼굴은 인체의 본질을 대표하기도하고 동시에 우주적인 본질을 대표하기도 한다. 전통과 현대 사이에 다리를 놓는 문제는 얼굴이 우주를 대표하듯이 부분 속에 전체가 있고 전체 속에 부분이 포함되는 이른바 '하나가 모두' 인 논리를 어떻게 현대적으로 변형시키는가라는 문제에 귀착되기도 한다. 김복진이 불상과 '피리 부는 소년' 사이에서 고뇌했던 것도 바로 이 문제였다. '피리 부는 소년'이 서구의 근대 조각을 모작한 것이었음은 누구에게나 분명하므로 그가 전통과 현대 사이에다 다리를 놓지 못했다는 것 또한 분명하다. 서구에 있어 근대 조각은 부분 속에 전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부분은 어디까지나 부분이었으며 그 부분이 또 하나의 전체로서 완결되는 것이었다. 인체가 근대 조각에서 상징이기보다는 자아(자아)로 나타나며, 우주적인 혹은 종교적인 의미로서가 아니라 물리적이고 생물학적인 실체로 나타났던 것은 그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피리 부는 소년'은 자아론적(cogit)인 인체 미의 모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그것은 비전이 아니었다. 그의 비전이라면 불상과 근대 조각의 논리를 한솥에 넣어서 용해시키는 일이 먼저였고 그로부터 무엇인가를 만들어 내는 일이라야 했었다. 그것이 양쪽을 연결하는 '다리'의 의미인 것이다.

이 문제를 바람직하게 풀어 나가기 위해서는 인체에 대한 전통적인 사유가 어떤 것인가를 보다 진지하게 물어야 한다. 불교적인 의미의 인체 관념 이외에도 우리에게는 유교적인 인체, 무교적인 인체 관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고정수의 작품을 말하기 위해서 전통의 문제를 재론하게 되는 것은 어떤 경우는 진지하게 작업하는 작가에게 있어서는 전통의 문제가 징검다리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2. 고정수와 전통
1981년, 고정수는 <국전>에서 대상을 받고 미국과 멕시코의 조각계를 둘러보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가 멕시코에서 구상 조각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주니가(Zuniga)를 만나게 되었던 것은 우연한 일이 아니었다. 고정수는 주니가와의 만남을 이렇게 이야기한다. "내가 내 작품의 슬라이드를 보여주었을 때 주니가 씨와 나는 우리가 모두 뚱뚱한 여인을 조각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서로 반가워 했습니다. 그의 우람하고도 힘차며 또한 서민적인 채취가 충만한 조각들은 참으로 감동적이었습니다. 나는 부르델의 힘있는 조각과 마이욜의 풍요로운 조각을 좋아하지만, 가장 인상적이었고 지금도 가장 존경하는 작가는 주니가입니다." 필자는 주니가를 잘 모른다. 그러나 그의 작품을 통해서 그가 멕시코의 토착인들이 지니고 있는 보편적인 인체미(여체)를 솔직하고 소박하게 표현하는 작가임을 알고 있다. 따라서 주니가의 인체는 서구적인 주제의 연장인 자아론적인 조각상이기보다는 풍속적이고 민중적인 미의식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고정수와 주니가의 만남에서 고정수가 그토록 감동적이었다고 고백하고 있는 부분은 응당 주목할 만한 것인데, 그것은 고정수가 자기의 비전을 주니가에게서 재확인할 수 있었다는 걸 뜻하기 때문이다. 스스로 고백했듯이 고정수의 인체미는 한마디로 '풍요로움'과 '소박함'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인체미는 풍속 정신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고정수의 풍속 정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기록에 보이는 인체 조각의 역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기록상으로 보면 고구려 시대에 동명왕모의 소상이 있었음이 확인되지만, 그것이 어떤 방법으로 만들어졌는지 전혀 알 수가 없다. 그러나 신라 시대에 만들어졌다는 탈해왕의 소상이나 원효의 소상에서 어느 정도 그 점이 암시된다고 볼 수도 있다. 탈해의 소상은 죽은 후 그의 뼈를 추려서 만든 거인데, 일단 풍장으로 뼈를 추려낸 다음, 그 곳에 찰흙을 씌워서 사람의 형상을 재현해 낸다. 이렇게 되면 대리석이나 브론즈로 신상을 만들 때처럼 비례의 문제에 골머리를 앓을 필요가 없게 된다. 뼈를 그대로 사용하므로 저절로 인체의 황금비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원효의 소상에서는 뼈가 그대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뼈를 부수어서 진용을 만들게 된다. 이 말은 찰흙에다 뼛가루를 섞는다는 뜻으로 결국 테라코타에서처럼, 전적으로 인체를 재구성하거나 재현한다는 걸 뜻한다. 탈해왕 시대를 불교 이전의 시대로 그리고 원효를 불상 시대로 본다면, 이 두 가지 방법은 사실주의와 이상주의가 우리의 조각사에 존재했다는 걸 의미한다. 뼈를 사용하여 인체를 재현하는 방법은 사실주의로, 그리고 뼛가루를 찰흙에 섞어서 인체를 재현하는 방법은 이상주의로 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주의 조각은 인체의 비례나 볼륨을 자유롭게 조정함으로써 비로소 가능하다. 따라서 뼈를 기본으로 삼는 방법에서 이상주의가 실현되기 힘들다는 것은 당연하다.

고전 시대의 인체미를 대변했던 알베르토는 이렇게 말했다. '누드를 그릴 때는 뼈로부터 시작하라. 그런 다음, 근육을 붙이고 그 위에 근육의 위치가 보이게끔 살을 덮어라.' 알베르토의 이 말은 인체미에 있어서 감성적인 요인보다는 이지적인 요인을 강조하는 것이지만 크게 보면 탈해의 소상에서처럼 사실주의 입장을 대변하는 말로 받아들여진다. 이런 시각으로 보면 동명왕모의 소상이 그리스의 누드 조각처럼 사실주의적으로 만들어졌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갖게 된다. 동명왕모의 시대가 불교 시대가 아니라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무교 시대에 속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한국 조각의 전통을 두 갈래로 보면 고정수의 인체미가 이상주의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든 불상이 한결같은 것은 아니지만, 석굴암의 관음상이 보여주듯이 한국의 이상주의적인 인체미는 '풍요로움'에 기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고정수의 풍요로움과 불상의 풍요로움을 곧 바로 연결시킬 수는 없다. 석굴암의 주존불이 말해 주듯이 그것은 어디까지나 절제된 풍요로움이기 때문이다.

고정수의 풍요로움이 불교적이기보다는 풍속적이고 민중적이라고 말했던 것도 그 때문이다. 사실 한국 미술사에 있어서 풍속의 개념은 풍속화에서 보듯이 열외적인 것이다. 그것은 불교나 유교와는 다른 의미의 문화 감각이고 어떤 의미에서는 가장 보편적인 원시성이라고도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풍속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고분 속에서 발견되거나 무속적인 것과 관련되어 있는 것은 그 점을 말해 준다. 김홍도나 신윤복의 풍속화가 그렇고 신라 시대의 토우들도 모두 무속적이다. 김홍도나 신윤복의 인체미가 발상적으로 절제보다는 풍요로움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은 그들이 그려내고 있는인물의 얼굴에서 여실하게 드러나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의 인물들은 남성이건 여성이건 간에 발상적으로 볼륨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둥글넙적한 것은 인종적인 특성이라고 하더라도 튀어나온 양볼과 굵은 목덜미는 한마디로 볼륨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볼륨에 대한 확실한 의식은 신윤복의 '미인도'에서 발견된다. 그의 여체미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트레머리가 돋보이는 얼굴 부분과 노리개를 쥐고 있는 상체, 그리고 치마로 둘러싸인 하체이다. 머리 부분을 우아하고 후덕함을 보여주고, 상체는 겸손함과 이지적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체가 세 부분 중에서 가장 비볼륨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은 그 때문이다. 우리의 관심은 치마로 둘러싸인 하체에 있다. 신윤복은 하체에 볼륨을 강조하기 위해 마치 고무 풍선처럼 치마를 부풀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옷의 주름을 강조하면서 조각 자체에 역동감을 부여했던 서구 조각의 방법과는 사뭇 다른 것이다.

신윤복의 '미인도'에서는 주름은 큰 관심사가 아니다. 만일 신윤복 시대에 누드가 그려지는 것이 관행이었다면 그는 틀림없이 마이욜이나 르느아르의 여체에서 보는 것처럼 풍요로운 볼륨으로 미인의 하체를 그렸을 것이다. 신윤복의 인체가 사실주의가 아니라, 이상주의적이라는 것도 인체에 비례가 무시되어 있기 때문이며, 인체가 자연물의 일부분으로서가 아니고 그 자체가 자연물의 완결체로 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미인도에서 인체가 그리스의 고대 조각에서처럼 세 부분으로 나뉘어 표현되고 있는 것은 그 점을 말해 준다. 고정수의 인체가 인체 자체를 부분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신윤복의 '미인도'와는 다르다. 그러나 볼륨이 여성의 인체미에서 중요한 요인이라는 인식에 있어서는 상통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신윤복의 여체에서는 하체가 볼륨으로 표현되지만 고정수의 여체에서는 전신이 볼륨으로 평균화 되어 있다. 바로 이 점이 고정수의 여체가 고전적인 의미의 '비너스 미'를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나름의 여체미를 만들어 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부분이 된다. 유명한 빌렌돌프의 비너스나 뿔배를 든 비너스는 모두 여체의 가슴과 배, 엉덩이만이 볼륨의 대상이 되어 있다. 고정수는 이 부분에 대해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나는 그 동안 줄기차게 여체를 제작해 왔다. 여체는 나에게 모티브가 아니라 주제이다. 그러므로 여체는 내 제작 행위의 생명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속으로 그리워 하던 여성상이 이런 것이었구나 하는 것을 깨달은 것은 나중의 일이었다. 나는 한국적 아름다움의 에센스라는 것이 무엇이든지 포용하고 푸근한 느낌을 주는 모성적 형태와 이미지에 있다고 생각하며 작업하고 있다.

"우리의 감각에 더 어울리는 것은 서구적 조각보다 푸근하고 넉넉한 우리의 어머니와 누이들을 닮은 여성상일 것이다."

푸근한 느낌을 주는 모성적 형태라는 표현에는 비너스적인 관념이 반영되어 있다. '비너스'라는 말의 어원에는 훌륭한 아들을 낳는 자안패(Concha Venerea)라는 뜻이 들어 있다. 이 말은 조개가 아들 낳기와 관련 있음을 보여주며 실제로 봇티첼리의 그림에서는 아프로디테가 커다란 조개를 타고 지중해의 사이프러스 섬으로 상륙하기도 한다. 조개는 진주의 산실이다. 비너스와 조개가 연결되었던 것은 조개가 진주를 만들어 내듯이 비너스는 보석 같은 아이(메시아)를 낳는 모체가 되기 때문이다. 고정수가 '모성적인 형태'라고 한 것은 물론 발상적으로는 비너스적 관념과 맥락을 함께하지만 그러나 그의 모성은 푸근하고 넉넉해 보이는 모성적 형태이다. 이 말은 그의 여체가 존적인 여체미보다는 서민적이고 풍속적인 의미의 여체미를 지향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여체 조각이 비례나 균제, 시메트리보다는 양감이나 생동감에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은 그 점을 뒷받침한다. 그런 시각으로 볼 때 고정수의 여체는 토우적인 세계와 맥락을 잇는다고 말할 수 이 있을 것 같다. 경주 일대에서 발굴된 고신라 시대의 토우 중에는 비너스 류의 여체가 더러 있다. 그 중 하나는 긴치마를 입었으며 상체는 큰 젖가슴을 노출했는데 무슨 이유인지는 알 수 없으나 배에는 구멍이 하나 뚫려 있다. 두 손을 허리에 붙이고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는 포즈는 생동감이 있다. 젖가슴의 노출은 선사 시대 이래의 비너스 여신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같은 특징이며 배에 구멍이 나있는 것도 생산의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실제로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우리의 풍속에는 아들을 낳는 양가집 며느리가 아들을 낳았다는 징표도 두 젖무덤을 저고리 밖으로 내놓고 지나가는 행인에게 과시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 비너스 상을 신모 신앙의 표현이라고 본다면 그 여체가 아이 낳기를 관장하는 산신이라는 걸 확인할 수가 있다. 중요한 것은 여체미다. 그러나 이들 토우가 즉흥적으로 빚어짐으로서 여체미를 음미해 볼 수 있는 근거가 희박하여 실로 유감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 즉흥성에는 그 나름의 여체미가 반영되어 있다. 예컨대 '무계획의 계획' '비완결의 완결'과 같은 불확실성의 미감이 그것이다. 토우에는 그런 미감이 분명히 있다. 적당히 주물러서 만든 여체는 불완전한 것이면서도 그러나 있어야 할 요인은 다 갖추어져 있다. 삼신할미의 이념을 나타내는 크고 알차 보이는 유방도 그러하며 또 자궁을 암시하는 배꼽(구멍) 묘사가 그렇다. 그것들은 여체가 풍요로움의 상징이른 걸 암시하고 있다. 토우의 제작자들은 모성적인 여체가 비례라든가 균제와 같은 형식적인 원칙보다는 기운 생동의 모체이고 그 가시적인 현상이 볼륨이라는 걸 알고 있었던 것이 분명하다. 고정수의 모성적 형태도 이들 토우의 제작자들이 생각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하면 큰 잘못이 아닐 것이다.

3. 고정수의 작품과 서구적인 전통
인체는 재현하는 일이 곧 조각가의 임무처럼 되어 버린 것은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어떤 이유보다는 본질적으로 종교적인 것으로 해야 옳을 것이다. '창세기'에 소개되어 있는 아담과 이브에 관한 이야기는 무엇보다 그 점을 뒷받침해 주며 인도나 그리스의 유명한 인체 조각 등의 모두 종교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그것들은 모두 인체를 통해 그들 종교가 말하고자 하는 비밀을 교시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라든가 혹은 '너 자신을 알라' '우주적인 원리가 인체 속(가슴)에 있다'는 철학적인 명제들은 모두 아리스토텔레스가 예술은 '인간을 모방하는 행위'라고 정의를 내린 것과 같은 맥락이다. 그에 의하면 신이 흙으로 '아담'과 '이브'를 빚었던 것도 인체가 신과 같이 완벽한 형태(진리)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브가 아담의 갈비뼈에서 만들어졌으므로 여체 조각이 남성 조각보다 더 중요하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플라톤이 남녀가 본시 한 덩어리라고 했던 것을 참고하면 갈비뼈의 이야기도 기실은 남녀가 붙었던 것을 떼어 냈다고 한 플라톤의 이데아설과 크게 다름이 없다고 할 것이다. 물론 남성과 여성의 몸이 똑같지는 않다.

여체에서 남성적인 기능과 다른 것을 들자면 그것은 젖가슴과 자궁일 것이다. 자궁은 뱃속 깊이 숨겨져 있어서 쉽사리 알아차릴 수가 엇으나 젖가슴은 상반신에 드러나 있어서 여체의 상징이 된다는 것은 오히려 자연스럽다고 할 것이다. 구석기 시대의 여체 누드에서도 젖가슴과 배가 특별히 강조되고 있는데 이 점도 같은 맥락이다. 자궁은 생명을 잉태하는 곳이고 젖가슴은 그 생명을 키우는 존재의 가장 원초적인 행위가 시작되는 곳이다. 여체가 남체에 비해 두 개의 기능을 더 가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무거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키가 작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최초의 신은 남자와 여자를 똑같은 질량의 흙으로 빚어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니까 여체에 두 개의 기능을 더 주기 위해서는 키를 줄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젖가슴이 큰 여체일수록 목이 짧고 키가 땅땅해지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되는 부분이다. 더욱 남자의 몸매가 자궁과 젖가슴을 포기하면서 얻은 질량으로 만들어졌다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아무튼 고정수의 여체들은 비너스 양식과 마찬가지로 우선 젖가슴이 풍요롭다. 그 풍성하고 푸짐한 가슴을 무리 없이 표현하자면 그것을 감싸주는 튼튼한 상체가 있어야 하고 그의 작품들에서처럼 어깨와 팔도 그 규모에 걸맞게 굵고 튼튼해야 한다. 또 두텁고 푹신해 보이는 넉넉한 살을 갖는 것은 서구적인 전통에 있어서는 계몽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상의 덕성을 상징하기도 한다. 물론 고정수에게 있어서 그것은 한국적인 부덕의 표현이기도 하지만 양질의 토양으로 뒤덮인 풍성한 농토의 의미와도 같은 것이며 그래서 가문을 빛낼 훌륭한 자식을 얻고자 하는 사려 깊은 사람들로서는 그 덕성을 높이 찬탄하지 않을 수없는 여체 규범이 되는 것이다. 고정수의 여체도 그렇게 속삭이고 있는 듯이 느껴진다. 앞에서 이미 지적했듯이 푸짐한 젖가슴을 지탱하자면 그것에 걸맞는 상체가 필요하고 육중한 하체가 뒤따라야 한다. 그것은 부르델의 말처럼 거대한 몸을 떠받치게 하기 위해서는 이중의 부벽을 설치해야 했던 로마네스크 양식의 성당 건축의 원리와도 같은 것이다. 유방은 돔(Dome)이고 허리는 기둥(벽)이고 골반은 반석(주춧돌)이다.

고정수는 그런 점을 강조하기 위해 여체의 둔부, 허리 이를테면 뒷면을 실감있게 묘사한다. 튼튼한 허리는 신전 건축의 벽이나 기둥처럼 상체와 골반을 연결(결합)시키는 중요한 받침대이다. 앞가슴이 돔이라면 골반이 의식을 행하는 예배장소라는 것은 여체에서도 다를 바 없다. 골반이 튼튼하지 않으면 건강한 생명의 탄생을 기원하는 제의적인 의례는 완벽하게 치뤄낼 수가 없다. 여체가 생산의 이념을 상징하는 조각가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는 것은 고정수에게 있어서도 예외일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는 일찍이 아테네가 생산자(노동자와 기술자)의 이념을 드높이기 위해 여신을 숭배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그는 우리 시대의 시민 정신을 찬양하기 위해 우리다운 여체미를 형상화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여체가 도상성이나 자세(포즈)보다는 자유롭고 안락한 정감이나 또 여체가 갖는 고유한 조형감, 예컨데 곡선이나 부드럽고 풍요로운 볼륨을 드러내 보인다던가 여체만이 갖는 독특한 긴장감을 자아내기 위한 포즈를 다양하게 구사하고 있는 것 등은 모든 그런 노력의 결과물이다. 그는 이 점에 대해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여체를 다루다 보니까, 여체란 무엇인가 하는 본질적인 물음을 갖게 되었어요. 그러면서 여체는 곧 모신을 상징하는 거라고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 결과 둔부를 강조하며 볼륨으로써 양감의 극대화를 시도했지요. 처음에는 의도적이었으나 차츰 나 자신도 모르게 내 영혼에 깊이 스며들었습니다."

그의 말처럼 생산자(모신)의 이미지는 도상인 포즈로서도 전달되어야 하겠지만 오늘의 문명 상황이나 여건에서는 에로의 요소도 전달의 기능으로 중요한 것이다. 실제로 누드의 세계는 에로스의 마감에 기초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고정수의 여체 누드물은 서 있거나 앉아 있는 것을 비롯해서 엎드리거나 뒤로 몸을 젖히기도 하며 어떤 것들은 턱을 고이고 무엇인가를 골똘히 생각하기도 한다. 팔짱을 끼고 심각한 표정으로 어딘가를 응시하고 있는 여체는 잉태한 볼록한 배를 자랑스럽게 드러내 보이기도 한다. 드물기는 하지만 서로 얼싸안고 있는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기도 한다.

작가가 이런 포즈들을 돌에다 옮기는 과정에서 그만이 알고 있는 무언의 요소들이 설명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육화되고 있음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누드(Nude)와 알몸(Naked)이 실제에 있어서는 똑같이 벗은 몸이면서도 전혀 다르게 정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회화에 있어서는 이 두 개의 벌거벗은 몸들은 드러내고자 하는 형태(알몸)와 그 배경과의 미묘한 관계 설정에 의해 어느 정도 그 방향이 다르게 설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조각에 있어서는 형태를 입체화하는 과정에서 해겨래야 하는 문제는 주로 볼륨이나 매스, 혹은 비례의 가감을 통하여 그 나름의 이상형을 만들어 내야 하기 때문에 그것을 보다 더 집약적으로 표현된다고 말할 수 있다. 어떤 경우이건 간에 참다운 누드의 아름다움은 그 모델의 실제와 동일하지 않으며 나체를 감상하면서 목이 길다든지 엉덩이가 너무 넓직하다던지 유방이 너무 작다는 식으로 말하는 것도 실은 감상하는 사람의 머리 속에 그 나름의 어떤 이상적인 기준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사회문제를 다룬 한 편의 소설을 읽고 나서 도시의 환경이 어떻느니 질서가 어떻느니 사회보장제도가 어떻느니 하고 비판할 때 그 사람의 머리 속에 그 나름의 이상적인 사회관이 선재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이다.

그리스 시대의 화가인 제우스가 한 아름다운 비너스를 만들기 위해 다섯 명의 아름다운 처녀를 모델로 했다거나 뒤러가 무려 2천3백명의 모델을 관찰한 후에 작품을 그려냈다는 기록들은 모두 누드가 단순히 벌거벗은 몸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실증해 주는 자료들이다. 가장 완벽한 이상사회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인류가 경험한 여러 사회제도를 연구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누드가 그리스인들이 창안한 예술 양식이면서도 그것이 오랜 세월 모든 미술가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던 것도 아름다움을 찾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노력의 하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정수의 아틀리에에서 탄생되는 여체는 많은 제물(모델)이 필요했던 고전 시대의 제작 과정과는 다른 방식의 결과물이라고 해야 옳다. 왜냐하면 그의 방법은 종합적이고 구속적이라기보다는 선험적이고 연역적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의 스케치나 구도들은 그 점을 반증해 주고 있다. 왜냐하면 그의 머리 속에는 토속적인 부덕의 이미지가 이미 선재하고 있으며, 그 이미지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그는 역설적으로 모델을 찾는다. 그 과정이 그의 스케치나 구도에서 나타나고 있음은 그 점을 의미한다. 그것은 르느아르가 시골 처녀만을 모델로 택했다던가 헨리무어가 북구 여성의 독특한 골반 미를 선호했던 입장과도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어쨌던 그의 여체는 그가 스스로 말하고 있듯이 방법적으로는 부르델이나 마이욜의 영향 속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인체를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의 현장으로 가져오자면 인체에서 상징이나 도상(Icon)적인 요인들을 제거해야 한다. 그러자면 이집트 조각에서부터 그리스 조각으로 변쳔하는 과정이 보여주듯이 먼저 인체에서 동물 장식이나 도상이 제거되고 궁극적으로는 옷이 벗겨지고 인체가 누드로 바뀌어야 한다.

헤겔의 주장처럼 이 과정이 변증법적인 발전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더 생각해 볼 여지가 있겠으나, 우리의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선택이 되었던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인 것이다. 그러니까 고정수 부르델이나 마이욜과 만나게 되는 것도 당연하다. 누드의 의미가 확인되지 않고 막바로 현대적인 과제로 넘어오는 것은 변증법적인 인식을 무시하거나 파괴하는 처사인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의 입장으로서는 누드를 본다는 것 자체가 문화적인 충격이었고 또 그것은 새로운 사상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낭만주의나 사실주의 시대의 미술가들이 누드를 '진실'이거나 '자유'의 상징으로 보았듯이 우리가 전통 조각 이후에 인체를 발전시켜 나가자면 결국 누드 양식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일이다. 전통에서 현대를 연결하는 통로는 바로 진실이라거나 자유라는 관념이 일반화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진리가 우리를 자유롭게 한다'는 말처럼 자유라는 다리를 거치지 않고서는 현대 조각으로 넘어올 수가 없다. 고정수는 이 점을 잘 알고 있다. 주니가와의 만남에서 그가 확인했던 공감대도 바로 그런 것이다. 미국이 유럽의 현대 실험 조각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당연하지만, 남미나 한국이 미국과 행동을 같이 한다는 것은 슬픈 일이라고 그들은 믿고 있다. 간접적이지만 미국은 유럽 문화의 직접적인 체험국이고 그 연장선상에 있지만 남미나 우리는 그렇지 못하다. 적어도 주니가와 고정수는 이 점에서는 공감대를 갖고 있는 셈이다.

부르델과 마이욜의 인체는 물리적인 것이다. 부르델은 힘을 강조하고 마이욜은 역설적인 방법으로 힘을 강조한다. 부르델의 인체가 긴장된 볼륨에 초점이 맞춰진다면 마이욜의 인체는 반대로 긴장감이 제거된 볼륨에 초점이 맞춰진다. 마이욜의 인체가 중성적이고, 무중력적이라고 말해지는 거도 그런 까닭이다. 참다운 자유나 진실이라는 개념이 마이욜에게 있어서 무중력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은 고정수의 인체와 더불어 흥미있는 일이다. 우리에게 있어서 자유나 진실이라는 것은 '자연' 흔히 '무위자연'이라는 말과 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고정수의 작품들에는 부르델의 힘과 마이욜의 자연(무중력)이 적절히 결합되어 나타난다. 그의 모든 여체드리 보여주는 포즈는 마이욜의 포즈와 맥락을 같이함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그가 힌두 시대의 나체 조각에서처럼 엄격한 비례를 무시함으로써 고전적인, 혹은 서구적인 인체미를 거부하고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의 여체는 부르델의 여체에서처럼 무거워지고 볼륨은 중량감의 표현으로 나타나게 된다. '나는 이제 더 잃을 것이 없구나' '소리를 쫓는 사람들' '눈을 감으면 더욱 잘 보이느니' '고요함 속에 태어나' '어린 듯 취한 듯'과 같은 작품의 명제들은 마이욜의 조각에서처럼 무중려의 의미를, '넉넉하게 태어나야지'와 같은 명제에서는 부르델의 작품에서 풍기는 힘의 의미가 드러나 있다. 물론 '정' '율'과 같은 명제들도 마이욜의 정신을 반영한다. 그러나 고정수의 이런 명제들은 우리의 전통사상인 '자연'의 개념과 이어지는 것들이라고 해야 옳다. '넉넉함'이라는 개념도 실은 자연사상의 한 표현이다. 무중력의 경지를 터득하지 않고서는 넉넉함이란 있을 수가 없다. 우리에게 있어서 '넉넉함'은 곧 자유이고 미덕이고 삶의 진실됨과 통하는 것이다.

고정수는 이 점을 우리의 토속적인 여인상에서 이끌어 내려고 시도한다. 그의 조각이 브론즈와 같은무국적 재료보다는 우리 땅에서 채취되는 화강암에 의해 제작된다는 것은 무엇보다 그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나는 이제 더 잃을 것이 없구나'라는 작품은 붉은색이 감도는 상주 돌이고 '눈을 감으면 더욱 잘 보이느니'는 흰 색깔의 여산 돌이며 '고요함 속에 태어나다'는 잿빛 색깔의 포천 화강암이다. 근자에는 신북 돌, 운천 돌을 즐겨 사용하는데 그것은 그 질감이 독특하기 때문이다. 돌의 입자가 굵고 또 다른 색들이 들어 있어 마치 인상주의 시대의 점묘법처럼 생경하면서도 투박한 힘을 느끼기도 한다. 화강암의 전체적인 색깔도 다양하여 거의 획일적이던 대리석 조각이나 브론즈 조각의 매너리즘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다운 미감을, 우리의 재료를 사용하여 표현한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바람직한 일이라고 한다면 고정수의 이런 성과는 응당 주목해야 할 것이다.

4. 주제와 사상
여체 누드의 역사는 '생산'의 문제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말해 주고 있다. 종자가 아무리 좋아도 밭이 나쁘면 좋은 열매를 기대할 수가 없다는 것은 따라서 인류역사가 시작된 이래 미인뽑기 행사가 끊임없이 이어진 것도 그 점이 얼마나 중요했던가를 말해 준다. 유명한 '패리스의 심판'과 트로이 전쟁에 관한 이야기는 단순한 신화가 아니라 고대사회를 흔들어 놓은 아주 중요한 사건이었다. 한 사람의 미인 때문에 10여 년에 걸치는 대규모의 전쟁이 지중해에서 일어났던 것은 미인 뽑기의 의미가 역사의 큰 관심거리였다는 걸 암시한다.

신라 시대의 시가인 헌화가도 미인뽑기와 관련있는 노래이다. 길을 가던 한 소몰이 노인이 아무도 오를 수 없는 절벽 위에 핀 철쭉꽃으 꺾어 수로 부인에게 바친다는 이 시는 신라 시대의 낭만 정신을 노래한 것이라고 알려졌으나 기실은 '패리스의 심판'에서처럼 미인을 뽑는 대회에서 상을 주고받는 광경을 노래한 것이다. 패리스의 심판에서는 사과이고 헌화가에서는 꽃이 상품으로 되어 있다. 이런 시각으로 보면 우리의 단군신화도 미인뽑기와 관련있음을 알 수 있다. 웅녀는 머리와 눈동자가 검은 인종의 여자이고 호녀는 머리가 노랗고 눈동자가 파란 인종의 여자이다. 이 두 인종의 여자 중에서 우리의 웅녀가 미인으로 뽑혀서 우리 민족의 신모가 되었다는 걸 단군신화는 말해 주고 있다. 프랑스의 뉴벨바크의 감독이 만든 영화 '몬도가네'는 기록영화로 세계에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그 이야기 중에는 아프리카의 한 촌락에서 미인을 뽑는 장면이 있다. 희한한 일은 모든 미인 후보들이 모두 선사 시대의 '비너스' 조각에서처럼 한결같이 비대한 몸을 지닌 여성들이었다는 점이다. 출렁거리는 거대한 젖가슴과 우람한 둔부를 자랑하는 그 미녀들이 목에 꽃다발을 걸고 우람한 두 팔을 흔들며 춤을 추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고전 시대의 유럽 미술가들의 어법을 빌자면 그녀의 몸은 바로크 건축처럼 탄탄하고 묵직하며 웅장했으며, 젖가슴과 배는 충분히 생산을 위한 내밀스러운 예배장소가 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것이었으며 팔과 다리는 고갱의 표현처럼 파르테논 신전의 기둥처럼 그 어떤 지진에도 끄떡없는 버팀목처럼 보였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현대적인 미인에 길들여진 우리들로서는 왜, 그런 뚱보가 미인이 되는지 이해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그 대회에서 뽑힌 미인의 추장의 아내가 될 뿐만 아니라 추장의 대를 잇는 훌륭한 이들을 많이 낳아야 할 의무가 그녀에게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아프리카 미인의 기준이 왜, 뚱보가 되어야 하는가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로 알려진 빌렌돌프의 비너스가 머리와 지체 묘사를 거의 생략하고 주로 풍만한 유방과 배, 그리고 거대한 둔부를 강조했던 것도 이런 맥락과 일치함을 보게 된다. 미술사가들이 이를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신모 신앙이라고 규정한 것은 그렇게 이해된다. 이렇게 보면 오늘의 미인대회에서 요구되는 미인의 이념이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다. 60년째 세계 미인의 기준만 하더라도 미인의 몸매는 조금 과장되게 표현하면 북어같이 가늘고 늘씬해야 했으며 얼굴은 물론 서구형이 기준이므로 눈이 움푹 들어가야 하고 코가 오똑 서야 했다. 이런 기준에 대응하자면 당연히 둔부와 배가 커서는 안 되고 유방도 필요없이 크거나 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다산의 풍요의 이념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미인이지만 자본가의 힘에 의해 촉진되었던 금세기의 미인대회는 그래서 소호불량과 불임을 매력으로 여기는 병적인 여체만을 대량생산하며 도시의 쇼윈도에 상품처럼 진열하게 되었다. 20세기 문명이 점차 건강한 인간 종자의 소멸과 함께 몰락의 위기를 맞게 되는 국면도 미인의 이런 가치 기준과 무관하지 않다. 그러니까 세계적으로 신화학이 새롭게 주목을 받게 되는 것도 결국 우연이 아니며 고정수의 누드 작품들이 이런 주제와 맞물려 있는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니다. 불행히도 우리에게는 누드 조각의 전통은 물론 여체 누드 조각의 전통이 빈약하거나 전무하여 우리 나름의 여체 조각을 만든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미인의 역사가 우리에게 없었던 것은 아니다. 고구려의 여신 승배, 신라의 신모 신앙, 원화도 등이 그렇고 가깝게는 혜원의 미인도가 그 가시적인 범례가 되기도 한다. 모든 조각가가 다 그러했듯이 고정수도 기본적으로는 서구 조각의 기법을 충실히 받아들이는 순서를 밟지만 그러나 그는 어디까지나 우리다운 여체미를 구현하는 데 남다른 수완을 보여 왔다.

개인적으로는 혜원의 미인도를, 아프리카의 미인 기준과 현대적인 미인 기준의 중간쯤에다 놓고 싶지만, 고정수의 여체들도 그런 시각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렇게 생각되는 것은 그가 창조해 낸 여체미가 우리들의 공감대를 얻는 잠재적인 미의식과 깊은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 앞에서 이내 언급했지만 그의 여체는 헨리무어의 초기작품들, 부르델의 힘찬 누드, 르느아르의 건강하면서도 원초적인 야성미를 지닌다. 그러나 그 야성미는 헨리무어보다는 절제되고 이상화되며 르느아르보다는 더 생동감이 있다. 왜냐하면 그의 여체는 혜원의 미인도에서처럼 크지않고 다부지며 그 앙파짐한 몸매 속에 실은 모든 여성다운 것이 숨겨져 있는 듯이 보인다. 누가 보나 그것은 투박하면서도 짜임새 있는 귀틀집처럼 건장해 보이는 건축물인 것이다.

오뚝 코를 중심으로 북쪽은 아담한 이마, 남쪽은 앵두 입과 복스러운 턱, 동서에 걸쳐 널찍한 두 뺨이 튀어나와 넉넉하고 후덕한 미덕을 과시해 준다. 그것은 분명히 아프리카 미인의 기준도 아니고 그렇다고 미스 월드로 뽑힌 미인의 기준도 아니다. 탄력성을 지니면서도 풍성한 느낌을 주는 둔부, 배 그리고 그 볼륨에 걸맞은 원분(원분)과 같은 유방 등이 얼굴의 그 특별한 분위기와 균형을 이루면서 잃어버렸던 우리들의 신모 신앙의 넋을 일깨운다는 느낌을 받게 되는 것은 비단 나만이 아닐 것이다.


Korean Maternal Image and Its Ampleness by Koh Jeong Soo

Park Yong Sook / Art Critic



1. Introduction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of Korean sculpture has lost its footing in history ever since the era of Buddhistic statue has disappea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bove statement, we need to recall the fact that, during the time when calligraphic art was widespread and its artistic activity was discussed extensively, there was never any worthwhile debate on activities concerning the sculpture or carving art.

Of course, we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the Confucianism and the Buddhism have backgrounds that are different and yet relative. For example, Buddhism is more spiritual than Confucianism, and Confucianism is more realistic than Buddhism, as it takes on the issue of life, Therefore, it was only natural that there was no place for Buddhistic statues in the middle of flourishing Confucian cultur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s the Confucian culture faded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we were able to find talented fine art artists dealing with traditional aspects, but we could not find its counterpart in sculpture. This is an important point in understanding the modern Korean sculpture which started anew onl after being severed from the tradition. A time period is called a transition era, when an old civilization fades away and a new civilization gives its rise. Emergence of an artist with an artistic vision during this period is like a formula. A true artist is one who can function as a two way bridge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era doing wonders between the two. The function of the bridge is to create perfection by facilitating the interaction of the two periods without disposing each other. There exists a theory of transition era. Within the theory, exists another theory called dialectic. Art history demonstrates the theory of dialectic by leaving behind aspect of changes.

It is in such a context that our history of sculpture died with the Buddhistic statue. In our view, a modern sculptor must confront and conquer the spirit of tradition in order to create a masterpiece. As one could not cross the bridge of Olympus without solving the riddle of the sphinx, without understanding the tradition, an artist will not be able to enter the new house of Olympus called the modern world. This was the Precise reason for Kim Bok Jin's failure as a sculptor. He sculpted Buddhistic statue without truly understanding the world of Buddhistic statue. For that reason, after creating. "A Boy playing The Pipe", he could not make any progress in the artistic world. He failed to absorb the full knowledge of the tradition which would have enabled him to understand the modern era. To him, the tradition and modern era were not directly related, as in the theory of dialectic, but they were two separate ones which could dispose one another. It I misfortune for the Korean sculpture, as well as for himself, that he could not bridge the two sides, the tradition and modern era, even though he was regarded as our first modern sculptor.

If our tradition is said to be based on the universe, it can be said that the modern era adheres to a partial and microscopic view. The human body, in traditional sense, was understood as a small universe just as the Buddhistic statue is a miniature (nirvana) of the universe. Just as we have sun, moon, and stars within a celestial sphere, we possess, within our body, the same, which move about and through the blood vessel much like the celestial sphere. This is well supported by the idea that there are 360 joints in a human body and also by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flow of 'chi'. If we understand our body system in such a manner, our body cannot be considered as our own, but rather it must be considered as a small universe with an absolute existence void of our intention. This is the reason that the artists in Chosun Dynasty focused only on the faces when drawing portraits. The body is a small universe and the face is the part representing our body. This thought is also found in the Egyptian and Hellenistic art of human body. Because it was believed that if one understands the face, the whole body also could be understood, and artist believed that he has completed a portrait only after observing and reproducing the facial expression, especially the eyes, in detail. In this kind of portrait, body is drawn in simple lines whereas the face is well depicted. The face represents both the nature of the body and the nature of the universe. We also encounter the issue of bridging between the tradition and modern. As the face represents the universe, within a part is the whole and within a whole is the part. Then how do we transform the idea of "one-is-all" into modern era?.

This is the issue which Kim Bok Jin had difficulty in dealing with the Buddhistic statue and "A Boy Playing A Pipe." It is apparent to anyone that "A Boy Playing A Pipe" mimics the modern sculpture of Western Europe, and therefore, it is also apparent that he could not bridge the tradition and the modern era. In the modern sculpture of the Western Europe, a whole is not within the part. Instead, a part always remained as a part and that part becomes another whole by itself. In the modern sculpture, human body does not represent a symbol, but it represents an ego. The human body appeared as physical and biological entity instead of presenting universal or religious meaning. Therefore, "A Boy Playing A Pipe" is an art work of imitation of beauty deprived from cogito human body and this was not a vision. If it was a vision, he had to be able to first dissolve the theory of modern sculpture and the Buddhistic statue in a cauldron, and then create something from it. That would have been the meaning of bridging the two sides.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we need to find out what has been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human body. The concept of the human body exists in Buddhistic view as well as in Confucian view and in shamanistic view. The reason I have brought up the subject tradition before discussing the art works of Koh Jeong Soo is that to any artist who is serious about his work, the issue of tradition has become the stepping stone.

2. Koh Jeong Soo and Tradition
After winning the grand prix at in 1981, Koh Jeong Soo had an opportunity to travel to the U.S.A and Mexico where he visited the sculpture community. His meeting with Zuniga, who is the world's renowned figure in sculpture, was more than just a coincident, as Koh Jeong Soo describes his meeting with Zuniha as follows:

"I showed him my slides, Zuniga and I were happy to find out that both of us were into sculpting fat women only. It was very impressive for me to see that his sculptures were full of "down-to-earth" character and full or energy. I appreciate the powerful sculpture by Bourdelle and the richness in the work of Maillol. But Zuniga's was the most impressive and I respect him the most."

I do not know all that much about Zuniga. What I do know, through his art works, is that he is an artist with honest and naive expression, as they are depicted in his work of human bodies (woman) of native Mexicans. Accordingly, the human body created by Zuniga reflects the popular aesthetics and customs of a nation rather than the cogito sculpture extended from the Western Europe. It is worthwhile to note that Koh Jeong Soo was thrilled to have me with Zuniga. As confessed by Koh himself, the aesthetics of his works are 'richness' and 'simplicity.' The beauty of his human body is deeply related with our spirit of tradi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spirit of tradtion of Koh Jeong Soo, we need to review our records on the histoy of the sculpture of human body.

Through the record, we can confirm that the clay figure of the Mother of King Tongmyung has existed. But there isn't a clue as to how it was made. However, the method may be drawn, to some extent, by studying the clay figures of King Talhae of Wonhyo of shilla era. The clay figure of King Talhae was made after his death. His bones were put together by wind funeral, and then the bones were covered with clay to revive the figure. In this case, one did not have to go through the complicated work of calculating the ratio as in the case when working with marble or bronze. When natural bones are being used, the golden ration of the human body is preserved.

In this case of the clay Gure of Wonhyo the bones were not used in its original forms. Rather, the bones were powdered to produce a true face. That is, powdered bones were mixed with clay to revive of redesign a whole human body, just like the way it is done with terra cotta. By treating the era of King Talhae as the pre-Buddhism era and the era of Wonhyoas Buddhistic statue era, we can draw an inference that two methods, realism and idealism, have existed in our history of the sculpture. The method of using the bones to revive the human body can be called the realism and the method of using the bone powder mixed with clay can be called the idealism. Sculpture of idealism can only be achieved by controlling the volume and the proportion of human body. Therefore, realizing the idealism is very difficult in the method where the bones are used as basis.

Alberto, representing the beauty of human body of classical period, stated,

"When drawing the nude, start form bone. After that, the muscle is to be attached, upon which flesh is to be covered so as to show the location of the muscle."

By this saying, Alberto is emphasizing the intelligent factor over emotional factor. However, in a broader sense, he appears to be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realism as in the case of King Talhae. Viewing in this manner, the clay figure of the Mother of King Dongmyung may have been created in the method of realism like the nude sculptures of Greece. Mother of King Dongmyung did not belong to the Buddhistic era but to shamanism era, which the era of Greece.

If we classify the Korean sculpture into two categories, as in the above, we can see the beauty of the human body expressed by Koh Jeong Soo is in line with the idealism, Not all the Buddhistic statue have been created in same style, But as in the case of Avalokitesvara statue of Sokkuram Cave, the Korea’s idealistic beauty of human body is based on “richness”. That is not to say that we can mak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richness of Koh Jeong Soo and that of the Buddhistic statue. As we can see in Buddha Statue of Sokkuram Cave, it is a limited richness. For the same reason, I have said that Koh Jeong Soo’s richness is Traditional and popular rather than Buddhistic. The concept of customs in Korea Fine Art History is away from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in a way, it may be called the most general primitivity. The view is supported by the art works found in an old tomb, as they are subjects of customs or related to shamanism.

As it is in the case of genre painting by Kim Hong Doh and Shin Yoon Bok, all the clay figures of shilla era are shamanistic. It is evident in the portraits of Kim Hong Doh and Shin Yoon Bok that the beauty of human body favors richness over restraints. This is revealed in the faces of the portraits they drew. Whether the objects are man or woman, they conceptually emphasize the volume. A clear concept of the volume van be found in “A Beauty” by Shin Yoon Bok. His beauty of female body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re is the facial part with a distinctive swept back hair, the upper body with a hand holding a trinket, and the lower body wrapped in a skirt. The head shows elegance and generosity and the upper body show modesty and intelligence.

This is why the upper body doesn’t emphasize the volume. Our interest is with the lower body wrapped in skirt. Shin Yoon Bok creates the inflated look of the skirt just like a balloon to emphasize the voluminous lower body. This is quite different approach from that of the western style sculpture which gave the dynamics to the sculpture by emphasizing the folds of the cloths. The folds on the clothes is not a big deal in “ A Beauty” by Shin Yoon Bok. If drawing nudes Were popular during his time, Shin Yoon Bok would have surely drawn the lower body of a beauty in a voluminous manner as that of Maillol and Renoir. The reason the body proportion is ignored in Shin Yoon Bok’s human figure is that his figure is idealistic rather than realistic. The human body itself is expressed as a complete entity of nature, not as a part of a natural thing.

The fact is, in his work, the body is expressed in three parts as in classical Greek sculpture. His figures differ from that of Shin Yoon Bok’s “A Beauty”. That is, the figures of Koh Jeong Soo are understood as parts of bodies. But there is a common ground between the two. Both consider the volume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eauty of female figures. In Koh Jeong Soo’s female figures, the volume is expressed all over, whereas in Shin Yoon Bok’s, only the lower body is expressed in volume. This shows that Koh Jeong Soo is creating his own beauty out of female figure, not following the meaning of the classical Venus’ beauty. In the venus and the Venus holding a drinking horn, which were created by the famous Willendorf, the hip, belly and the chest were the only objects of the volume. Koh Jeonh Soo states as follows on the issue.

“I have been incessantly working on female figures. Female figures is my main theme, not merely a motive. Therefore, female figure is the life of my creation. It took me a while to realize what the true image of woman I have sought was. I work thinking that the essence of Korean beauty lies within the image of the motherhood which are warm and abundant: warm and abundant image of woman like that of our mother and sisters”

Within the expression ‘warm motherhood’ lies the concept of the Venus. Within the original definition of the word ‘Venus’ lies another word: Concha Venere. It means to give birth to a beautiful son. This impli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hell and giving birth to son. From the painting of Botticelli, we can actually see that Aphrodite travels through the Mediterranean Sea sitting on a shell and arrives at the island of Cyprus, Shells are delivery room of pearls. The connection between shell and the Venus is that as shells deliver pearls, the Venus was to deliver a child who is like a precious stone (Messiah). What Koh Jeong Soo calls the ‘maternal shape’ is within the same concept as the Venus. However, his concept of motherhood is that of warmth and abundance. His female figure is oriented towards the popular and traditional beauty rather than the classical beauty. This view is well supported in his works where he emphasizes on sense of volume and vigorousness rather than focusing on radio or symmetr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is female figures are in the same context with the clay figures.

Some clay figures from ancient shilla era excavated around Kyungjoo are female bodies that resemble the Venus. One of the figures wearing long skirt has big breasts exposed. There is also a hole on her belly for some unknown reason. The pose with both hands on her sides and staring at something looks very alive. The exposure of breasts is common among the statues of the Venus of primitive time. A hole on the belly also has a relation to the reproduction. Up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e had a custom where a daughter-in-law of a good family who gave a birth to a son showed off both her breasts to passerby. If you regard the statue of the Venus as expressing the faith of a god-mother, than we can be sure that the female figure is the fertility goodness. The importance is the beauty of the female figure. But it is unfortunate that the clay figures were created extemporarily where cannot appreciate the beauty of the female body figure.

Nevertheless, the extempore reflects the beauty of the female figure in itself. The aesthetic sense of uncertainty as in ‘plan without, planning’, or ‘completion without finishing’ can be just that. The clay figure surely has such sense of the aesthetics. The female figure, which is roughly finished, has all the qualities while appearing unfinished. The portrayal of the navel (hole) that implies the womb, and big yet firm breasts, all point to the concept of the fertility god. These characters imply that the female body symbolizes richness. The creators of clay figures certainly knew that the visible phenomenon is the volume and the motherly female body represented the vigorousness rather than the perfunctory principles like the proportion or the regularity. We are not deviating much by staring that Koh Jeong Soo’s motherly figure is not too different than the concept of the creators of the clay figures.

3. The Art Works of Koh Jeong Soo and the Western Tradition
It is safe to say that reviving the human body has become a personal duty for the sculptors, and it has become so for religious reasons rather than for personal or social reasons. This is supported by the story of Adam and Eve of genesis and by the fact that all famous human statues of India or Greece are all related with religion. Through the human figures, religions attempt to convey the true meaning of their religious. Philosophical propositions such as ‘Mankind is the lord of all creation’, or ‘know thyself’ or We can find the universal principle in the body’ are in the same context with Aristotle’s proposition ‘Art is to imitate the mankind’. According to him, the reason God made Adam and Eve with slay was that the human body was to be in a perfect form as that of God (truth). And it is not to say that because a woman was made out of a rib from a man, female figure sculpture is more important than male figure sculptures. According to Plato, man and woman were one mass in the beginning. If we were to reconsider that, the story of rib is not that much far apart from Plato view in which that one mass was divided to create man and woman. The body of man is not the same as that of woman. The functional differences found in female’s body from that of males are breast and womb.

The womb is hidden deep inside the belly. The breasts, on the other hand, are placed on the upper body, and have become the symbol of the female body. The same applies with the female nude of the Old Stone Age which emphasized the breast and belly. The womb is there to conceive a life and the breasts are there to provide to the life the most fundamental thing for its existence. Because woman have two more functional parts than man, woman is thought to be heavier. But women are shorter than men in general, and therefore, it is safe to say God has used the same amount of clay to make man and woman. In order to offer two more functional parts to woman, God had to shorten the height of the woman. If a woman has bigger breasts, she has a shorter neck and she is also shorter in height. It is also interesting to know that by giving up the womb and breasts, male body was made with same volume and quality. The female figures of Koh Jeong Soo have breasts that are as rich as that of the Venus. In order for the artists to express the rich and voluminous breasts without mistake, the upper body enclosing the breasts must be robust while the shoulders and arms are thick and strong enough to well match the overall volume. Having generously thick and soft looking flesh has beenthe symbol of Western wom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bviously, it is Koh Jeong Soo’s way of expressing the virtue of woman of Korea,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represents the richness of the farmland covered with good soil. For those people wishing to have beautiful children who would bring honors to the family, it became a principle that beautiful female body was to be highly respected. It feels as though the female figures of Koh Jeong Soo are whispering the above messages. As pointed out earlier, the upper body must be good enough to accommodate the rich and voluminous breasts and the lower body also must be robust in order to for the whole to be well balanced. This is like, as Bourdelle once said, Romanesque styled Cathedral church building with a double buttress which supports the enormous sized body. The breast is the dome and the waist is the column (wall) while the pelvis is the rock (cornerstone).

To emphasize this point, Koh Jeong Soo portrays posterior part of woman’s body, the hip and the waist, in a real sense. Strong waist is an important foundation that connects the upper body and the pelvis, like the wall or column of a temple structure. It is not any different in woman’s body. The pelvis is the place of worship and the chest is the dome. Pelvis has to be strong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rvice wishing for the birth of a healthy life. It is not an exception for Koh Jeong Soo that the woman’s body can be an important material of a sculptor which symbolizes the concept of reproduction. It can be said that in order to praise the spirit of the citizens of our times, Koh Jeong Soo concentrated on visualizing the beauty of woman’s body of Korea as early Athens worshipped goddess to raise the ideology of the laborers and the technicians. His woman’s figures reveal freedom, comfortable sentiment and figurativeness such as the curves and the soft but rich volume.

“It was my intention, but over time, such practices became my spirit.” As stared in his words, the image of the fertility god should be delivered or posed as icon. However, given the state of present civilization, the factor of eros is also important as the function of deliver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aesthetics of eros is based on the eros itself in the world of nudes. The nudes of woman’s figures of Koh Jeong Soo have various poses like standing, sitting lying prone, leaning backwards and some even look as if she is immersed in deep thought with her hands on her chin. A Woman’s figure, which has her arms crossed and seems to be starting at something seriously, revels proudly her swollen tummy with a life inside. On a rare occasion, a dramatic scene of hugging each other is produced.

We must understand that the factors only known to him are shape-into-flesh in an unexplainable way while poses are transferred onto stone. While both the nude and the nakedness mean free of clothes, they are defined quite differently. In painting, two naked bodies may be oriented differently to a degree due to a delicate matter of set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form (nakedness) and the background. But in sculpture, the problem to be solved, while the form is turned into three-dimensions, is done by controlling the volume, the mass and the proportion, in order to come up with an idealistic for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culpture is more intensively expressed. At any rate, the true beauty of nude is not same as the actual model. One who examines the nude and makes comments about the long neck, the broad hip or the small breast has already a set of standards. It is as if one who reads a novel that discusses the social problem, criticizes about the surroundings of the city, the order, and the social security system has already the ideal view of the society in his brain.

The records prove that the Greek artist called Zeuxis used five beautiful girls as models to create a beautiful Venus or Durek painted a nude after observing as many as 2300models. All nudes don’t simply mean nakedness. In order to design a most perfect society, it is only right that we study different society systems experienced by mankind. The reason nude, an artistic format created by the Greek, was widely accepted by the artists for quite sometimes is that they have put efforts to look for a beauty, as it was their desire to find it. The female figures created in Koh Jeong Soo’s studio are the result of the different methods from that of the ancient methods which needed many sacrifices (models). This is beauty his method is of experimental and deductive rather than composite and restraint. His sketch or design reflects such points. In his brain, there already exists the native virtue of woman and he looks for a paradoxical model to identify the image. This is evident in his sketch or design. This can be related to the fact that Renoir chased only country girls or Henry Moor’s preference on the peculiar pelvis of the northern Eropean woman. At any rate, Koh Jeong Soo’s female figures is under the influence of Maillol or Bourdelle in methodology. If we want to bring the traditional bodies into modern, we have to remove the symbols or iconic factors from human bodies. As shown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the Egyptian sculpture to the Greek sculpture, icon and the animal decoration must be removed from human body and ultimately, the human body must get rid of the clothes and become nude.

We need to further investigate if this process actually represents the dialectic development, as claimed by Hegel. But it has been the inevitable choice for us. Consequently, it was only natural that Koh Jeong Soo has met Bourdelle or Maillol. It would be an act of violating or destroying the theory of dialectic, if we head on for the modern task without having fully confirmed the meaning of the nude. This is because, from our point of view, seeing anything nude was a new idea and it came as a culture shock. The fine art painters of the Age of Realism or Romanticism regarded the act of nude as the symbol of ‘truth’ or ‘freedom’. If we were to develop the human body art, as in traditional sculpture, we must regard the art of the nude in the way the fine art painters of the Age of Realism and Romanticism did. The pathway that leads the tradition to modern are the concepts called the truth and freedom. ‘Truth makes us free’. Without crossing bridge called freedom, we cannot get to the world of modern sculpture. Koh Jeong Soo seems to be very well aware of this point. This is the very point he confirmed, when he met Zuniga. They both agree that it may be natural for the U.S. to be accepting the Eropean experimental modern sculpture, but it is regretful that the South America or Korea is doing the same. The U.S. is a nation which had direct experiences of the European culture and is still standing at the extended lines, but that was not the case in our country nor the South America. At least, Zuniga and Koh Jeong Soo are agreeing to this point.

The human figures created by Bourdelle and Maillol and materialistic. Bourdell puts emphasis on the power, and Maillol does the same but in a paradoxical manner. It may be said that Bourdelle’s figures focus on the volume with tension, and that of maillol’s do the same without tension. This is the reason that Maillol’s figures are said to be natural in sex and gravity-free. It is interesting to observe, along with the work of Koh Jeong Soo, that, in his eyes of Maillol. The concept of freedom and truth appears to be gravity-free. Because, to us, terms such as ‘freedom’ and ‘truth’ interact with terms ‘nature’ and ‘idle and easy life under nature’.

From the works of Koh Jeong Soo, we see a well-balanced combination of Bourdelle strength and Maillol’s (gravity-free) nature. The female figures poses are all similar to those of Maillol. By ignoring the strict ratio observed by the nude sculpture of Hindi, he has denied the beauty of the body that has been observed in the Western classics. By doing this, he creates woman figures that are similar to that of Bourdelle, which appear as heavy set, as the sense of weight is expressed through the volume. In his works the ‘I have Nothing to Lose Anymore’ the ‘people following the Sound’ the ‘We look better with eyes Closed’, the “Born in the Calm’ and the ‘Being Dazzled’, we find Maillol’s nature or gravity state. In the ‘Brought in easy’ we find Bourdelle’s power. Needless to say, In his works such as the ‘Tranquility’ and the ‘Principles’ we find the spirit of Maillol. And it is accurate to say that the works of Koh Jeong Soo are directly related to our traditional concept of ‘nature’. In actually, ‘ampleness’ is a concept which is no more than an expression within the concept of the nature. Without mastering the state of non-gravity, ampleness will not exist.

‘Ampleness’ represents freedom, virtue and truth in life. Koh Jeong Soo tries to depict this point in his work of Korean female image. This is evident as we see that he is using the granites as the raw material from our own land rather than using other materials, such as bronze, that are stateless. The material he used for the ‘I have nothing to lose anymore’ was a stone with red shade from Sangjoo, and the material for the ‘We see better with eyes closed’ was a stone with white from Yosan. The material for the ‘Born in the calm’ was a granite with gray shade from pochen. Recently, he has been using the stones from Shinbuk and Woonchun for their unique textures. The grain of the stones is coarse in these stones, and with various shades mixed together, they create a crude atmosphere similar to that of the pointillism of the Impressionism Age. The variety of the shade allows him the escape from the limits of marble or bronze which are uniform in shade. If it can be said that it is within our desire to use our own raw materials to express our own aesthetics, then the works of Koh Jeong Soo must be genuine.

4. Time and Idea
The history of female nude tells us the importance of ‘reproduction.’ This is supported by two facts; that beauty contests have always taken place since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mankind and continued, and that one cannot expect to reap good crops from bad soil. Even if he had the best seed.

“The judgement of Paris” and the: The Trojan War” were more than simple myths. Rather, they were the significant events that shook the ancient society. The war was caused by one beautiful woman and was fought for over 10 years in the Mediterranean Sea. This incident well demonstrates the fact that beauty contest has always been a concern in human history. The ‘Song of Wreath-laying’ is a song from the Silla era. The lyric shows its relationship with beauty contest. An old man was walking down the road with cattle. To pick an azalea blossom for Madame Sooro, he climbed up the steep cliff that no one else had ever dared to. It has been known as a song of romantic spirit of the Shilla era, but the underlying fact is that the lyric deals with a scene of giving and accepting prize for a beauty, as it was in the case of ‘The Judgement of Paris’. The prize in the ‘The Judgement of Paris’ was an apple, and the prize in the ‘Song of Wreath-laying’ was a flower.

Viewing from this point, our myth of Tangun also is related with beauty contest. In the myth, the bear woman had black hair and black eyes whereas the tiger woman had blonde hair and blue eyes.

Between the two women, the bear woman was chosen as the beauty and became the mother of our nation. The ‘Mont-d’organe’ is a worldwide known film produced by Nouvelle Vague of France. In The film, there is scene where a beauty contest is being held at a village in Africa. The interesting point here is that all the beauty contestants were fat as the Venus sculpture of the ancient times. Boasting their enormous sized breasts and robust hips, and shaking their strong arms, the contestants were dancing with floral wreath around their necks. European artists during the ancient times have described their bodies as being heavy, strong and majestic like the Baroque architecture. Their breasts and bellies were a secret tabernacle fully equipped for reproduction, and their arms and legs, as in Gauguin’s description.

Looked as tough and strong as the pillars of the Parthenon tabernacle that would not be moved even by an earthquake. Nonetheless, it is difficult for us to understand the beauty of the fat woman, because we are used to the modern beauties, However, if we realize the fact that the winner of the beauty contest not only became the wife of the chief but also bore the duty to give birth to many strong children to carry on the chief’s lineage,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reason behind the beauty of the fat woman in Africa.

This is the reason that Willendorf of the New Stone Age put the emphasis on rich breasts and belly with an enormous sized hip while nearly leaving out the head and trunk in the Venus. The art historians have abundant fertility and richness. Looking at all of the above, we come to realize that modern ideas of beauty has been distorted. For the past 60 years, the basic requirement of a beauty has been that the body must be skinny as a dried pollack, if I may exaggerate a little. A beauty’s face has to be somewhat westernized having deep set eyes and pointy nose. In order to meet these basic requirements, the hip and belly must not be very big and breast must not be unnecessarily big or oversized.

Modern beauty is in a sharp contest with the idea of abundant fertility and richness. The modern beauties are the products that has been facilitated by capitalist’s power. Modern beauty contests praise the infertility and indigestion. It has also resulted in massive production of weak woman who eventually look like merchandises on show windows.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se requirements for modern beauty and the gradual perish of healthy human beings of 20th century civilization. Therefore, recent rise in interest for Mythology is more than a mere coincidence. Same can be said for the nude arts of Koh Jeong Soo which are tightly entwined with the theme.

Unfortunately, we have a very weak background on nude sculptor and female nude sculptor that we have almost no pre-existing art works. It is extremely difficult for us to create our own female sculptures. However, that does not mean that there was no beauty in our history. The goddess worshipping during the Kokuryo era, the motherly goddess religion of the Shilla era and the Wonhwado belong to the category. For the more recent period, there was ‘A Beauty’ by Hyewon. As all the sculptors have done, Koh Jeong Soo has also taken the basic courses in learning the fundamental techiques of the Western sculpture. But he has been showing his exceptional talent that compares to no others in expressing our own style of female beauty. In my personal opinion, Hyewon’s ‘A Beauty’ will fit somewhere between the Africa beauty and the modern beauty, I also view the female figures of Koh Jeong Soo with same perspective, because his creation of female beauty is deeply related with potential aesthetics that we hold within ourselves. As said earlier, his female figures contain the early works of Henry Moore, the powerful nude of Broudelle, and power and primitiveness of Renoir. Yet, his untamed beauty is controlled,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idealistic than that of Henry Moore and more vigorous than that of Renoir. His female figures are not big, but they are stout, like that of Hyewon, and within the sturdy and solid figure, resides all the femininity. Anyone can see that his sculptures are study structures, rough as a log frame but well-set. The show off a generous virtue with a high nose on the center, a noble forehead to the north, and lips as red as cherries down to the south. This is definitely not the kind of beauty we see in Africa woman. Nor is it the kind of beauty we find in the Miss World Contest. A feeling of affluence is found from the hip and the belly. Giving the feeling of a round tomb are the breasts that well-match the volume to create balance and special mood. And I am positive that I am not the only one to think that remind us of our long forgotten sacred motherhood spirit.














생각하면 모두 아픈 나날들 - 13 (Sour days in recollection - 13), bronze, 44 x 24 x35cm, 38kg, 1996





박효진김이순이재언박용숙박용숙이구열유홍준이경성김인환



고정수의 여체조각

박용숙 (미술평론가)



종자가 아무리 좋아도 밭이 나쁘면 좋은 열매를 기대할 수가 없다. 인류역사가 시작된 이래, 미인뽑기 행사가 끊임없이 이어진걸 보면 그점이 얼마나 염려되었던가를 짐작할수 있다. ‘패리스의 심판’과 ‘트로이전쟁’에 관한 이야기는 단순한 신화가 아니라 고대사의 중대한 사건이다.

중국사람들 서경이 갈석의 문을 두드린다거나 우리의 구지봉신화에서 거북이를 위협하면서 왕이되는 고사가 모두 미인과 관련되는 이야기다. 나라가 제대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미인을 뽑아 나라의 반석을 삼지 않으면 안되었기 때문이다. 평안을 뜻하는 한자 ‘안’이 무엇보다 그것을 뒷받침한다.

벌써 300년전 일이다. 프랑스영화 ‘몬도카네’가 아프리카의 미인뽑기 장면을 보여준바 있다. 희한한 일은 최후에 뽑힌 미인이 시쳇말로 근수깨나 나가는 비대하기 이를데 없는 뚱보였다는 것이다. 출렁이는 거대한 젖가슴과 우람한 둔부를 자랑하는 그 미녀의 목에 꽃다발을 걸고 역시 듬직한 두다리를 팔을 흔들며 승리의 춤을 추고 있었다. 고전시대 유럽 미술가들의 어법을 빌자면 그녀의 몸은 바로크건축처럼 탄탄하고 묵직하며 웅장했으며, 젖가슴과 배는 내밀스러운 신성예배를 드리기에 부족함이 없는 공간이며 팔과 다리는 저 파르테논 신전의 기둥처럼, 그 어떤 지진에도 끄떡없는 버팀목이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현대적인 미인에 길들여진 우리들의 눈에는 왜, 그런 비지덩이가 미인이 되어야했는지 이해될 수가 없었다. 영화를 본지 얼마동안의 세월이 흐른 뒤에야 그 미인이 추장의 대를 잇게 할 아들을 최소한 한 타스는 낳아야 한다는걸 알았다. 부족의 운명을 떠맡는 미래의추장 하나를 키워내기 위해서 선택된 미인은 다산을 해야 했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로 알려진 빌렌돌프의 비너스의 머리와 지체묘사 보다는 주로 풍만한 유방과 배와 거대한 둔부만을 묘사했던 것도 이런 맥락과 일치함을 보게 된다. 미술사가들이 이를 다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신모신앙이라고 규정한 것은 충분히 공감적이다. 이렇게 보면 오늘의 미인대회에서 요구되는 미인의 이념이 얼마나 왜곡되어 있는가를 알 수 있다.

60년대의 세계미인의 기준만 하더라도 미인의 몸매는 조금 과장되게 말해서 북어같이 가늘고 늘씬해야 했으며, 얼굴은 물론 서구형이 모델이었으므로 눈이 움푹 들어가야 했고 코가 우뚝서야 했다. 이런 기준에 응하자면 당연히 둔부와 배가 커서는 안되며 유방도 필요없이 옆으로 퍼지거나 늘어져서는 안된다. 다산과 풍요의 이념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미인이지만, 자본가와 돈의 힘에 의해 촉진되었던 금세기의 미인대회는 그래서 소화불량과 불임을 미덕으로 여기는 병적인 여체만을 대량생산하여 도시의 쇼윈도에 상품처럼 진영하게 되었다. 20세기 문명이 점차 건강한 인간종자의 소멸과 함께 몰락의 위기를 맞게되는 국면도, 미인의 이런 가치기준과 무관하지 않다. 그러니까 세계적으로 신화학이 새롭게 주목을 받게 되는 것도 결코 우연일수 없으며, 고정수의 누드작품들이 이런 맥락과 맞물린다는 것도 우연이 아니다.

불행히도 우리에게는 누드조각의 전통은 물론 여체누드조각의 전통이 빈약하거나 전무하여 우리나름의 여체누드조각을 만든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아닐수 없다. 하지만 미인의 역사가 없었던것은 아니다. 고구려의 여신숭배, 신라의 신모신앙, 원화도등이 그렇고 가깝게는 혜원 미인도가 그 가시적인 범례가 되기도 한다.

모든 조각가들이 그러했듯이 고정수도 기본적으로는 서구조각의 기법을 충실히 받아들이는 순서를 밟지만 그러나 그는 어디까지나 우리다운 여체미를 구현하는데 남다른 수완을 보여왔다. 개인적으로는 혜원의 미인도를, 아프리카 미인과 현대적인 미인의 중간쯤에다 놓고 싶지만 기실 고정수의 여체들도 그런 시각으로 볼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혜원의 미인도를 한마디로 ‘부잣집 맏며느리감형’이라고 할수 있다면 그 이미지속에는 다산, 풍요, 덕망 그리고 모나지 않는 성적인 매력이 함축되어 잇다고 보겠는데, 불행히도 그 미인은 옷을 걸친 미인이어서 실제의 육체미를 헤아릴 수 없어 유감이다. 하지만 고정수의 여체미를 보면서 어느 정도 그 점을 보완해 낼수 있게 되어 다행인데, 그런 일이 결코 우연이 아닌것은 그가 창조해 낸 여체미가 우리들의 공감대를 얻는 잡재적인 미의식과 깊은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 분명히 그의 여체는 헨리무어의 초기의 여체나 르느아르의 여체처럼 건강하고 원초적인 야성미를 지닌다. 그러나 그 야성미는 헨리무어 보다는 절제되고 미화되어 르느아르보다는 더 생동감이 있다.

왜냐하면 그의 여체는 혜원의 미인처럼 크지않고 탄탄하며, 그 앙파짐한 몸매속에 모든걸 균형있게 구비하고 있다. 누가보나 그것은 짜임새있는 목조 담집처럼 아담하고 우아한 건축인 것이다. 오똑코를 중심으로 북쪽은 아담한 이마, 남쪽은 앵두입과 복스러운 턱, 동서에 넓직한 두뺨이 튀어나와 후덕한 미덕을 과시해 준다. 그것은 분명히 아프리카 미인의 얼굴도 아니고 미스월드로 뽑힌 그런 얼굴도 아니다. 탄력성을 지니면서도 풍성한 느낌을 주는 둔부, 배, 그리고, 그 볼륨에 걸맞는 원분과 같은 유방들이 얼굴의 그 특별한 분위기와 균형을 이루면서 잃어버렸던 우리들의 신모신앙의 넋을 일깨운다는 느낌을 받게 되는것은 비단 나만의 일이 아닐것이다.


Koh, Jeong-Soo’s Female Figures

Park yong Sook/ Art critic



No matter how good the seeds are, if the field is bad, they cannot be expected to come to fruition. Looking back the fact that beauty contests have been held ceaselessly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one can guess that how much concern they have caused. The stories of ‘paris’ judgement’ and ‘The Trojan War’ are not only myths but highlight of ancient history.

The Chinese myth concerning knocking on the door of Kalseok (stone temple) or our Korean ‘Koochibong’ myth in which a man of noble character becomes King threatening the turtles are both historical allusions related to beauties.

Beauties must be chosen for state security. The Chinese character,'An' which means secure, most of all, supports this.

Already 3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French movie ‘Mont-d’ organe’, showed the scenes of an African beauty contest. It was an extremely fat woman being selected the winner surprised us. She danced with honor, waving her firm arms and legs with a necklace of flowers, proud of her huge rolling breasts and the dignified derriere. To use the ancient European artists’ expression, her body, like Baroque architect, was solid and massive and grand, her breasts and belly were sacred areas never to be insufficient for places of divine service, her arms and legs, like the columns of the Parthenon were supports that would be secure from any sudden earthquake. Yet it could not be completely understood by eyes that were used to modern beauties how such a fat woman could be the most beautiful.

Long after that movie I realized the fact that she had to give birth to at least a dozen who were in line to the chief’s position. To raise only one future chief would burden the tribe’s fortune – the selected beauty was necessarily prolific. The Willendorf ‘Venus’, known as an antiquity of the Neolothic Period (the New Stone Age), being well adorned with abundant breasts and gigantic hips but only modest head, limbs and body along the same lines. Art historians have very sympathetically described it as a kind of sacred motherhood worship praying for fertility and prolifer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we may notice how much the present idea of beauty contests is distorted. From the standard of world beauty in the 1960’s, though slightly exaggerated, a beauty should be trim and slender in figure like a dried pollack. Since the model was Western style, she needed to have deep eyes with a straight high nose. To comply with this standard, as a matter of course, buttocks and belly were not to be big and breasts were not to spread outwards nor dangle. Though it is totally opposed to the ideas of proliferation and fertility, the beauty contests of this century, promoted by the capitalists and their money, have mass – produced morbid female figures that consider only indigestion and sterility as their virtues and display them as goods to sell in city show windows. The situation of 20소 century civilization, which is gradually moving toward the absence of sound offspring and toward a crisis of collapse, is not irrelevant to this value standard of beauty. Therefore, it is no accident that mythology has become newly recognized world – wide, and it is no accident that Koh Jeong Soo’s nude sculptures are in this vein of thought.

Unfortunately we are lacking in or have no tradition of nude sculpture let alone female nude sculpture, making, it is a very hard task for us to create female sculpture in our own way. Yet, it does not mean that there has been no history of beauty (the sacred mother). Visual examples are Koguryo’s ‘Goddess Worship’, Silla’s ‘Sacred Mother Worship’, and ‘Wonwhado’ and more recently, Hyewon’s painting ‘miindo’. Like all sculptors in this nation, Koh Jeong Soo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sincerely adopting the basic techniques of Western sculpture, he has showed us his unique ability to embody, to a certain extent, the Korean perception of beauty in the female figure.

In my personal opinion, I would like to put Hyewon’s beauty in-between the African concept of beauty and the modern one. To tell the truth, I consider Mr.Koh’s female figures likewise. As we think of Hyewon’s beauty as ‘the first daughter-in-law’ style, full of proliferation, fertility, and virtuosity, but with no harsh sexual charm implied in the image, the unfortunate thing is that she is a beauty in costume her, it is a pity not to realize its substance. By luck, we will be able to make up for this to a certain extent by viewing Koh’s female figures. That this is no accident is because there is a deep connection between the beauty of the female figure Koh creates and our potential aesthetic sense which evokes our sympathy. Certainly his female figures possess healthy and unpolished native beauty as in the female figures of henry Moore’s early days or as in Renor’s.

But the unpolished beauty is more moderated and embellished than Henry Moore’s and has more vitality than Renor’s. That is because his figures, like Hyewon’s beauty, are not big but firm, and all the conditions are fulfilled harmoniously in the gently curved figures. They are surely architectural structures noble and elegant like refined wooden temples. They show off generous virtue with a high nose at the center, a noble forehead to the north, lips red as cherries, a prosperous – looking chin to the south, and to the east and west, two wide protruding cheeks. They certainly are not African beauties, nor are they faces are well – balanced, with bottom belly giving a feeling of abundant elasticity, and with breasts like grave mounds matching their volume well, and evoke in us our sprit of sacred motherhood. Receiving such a feeling may not be only my concern.












서있는 사람 (Person standing), Korean granite, 108 x 47 x 44cm, 181kg, 1993





박효진김이순이재언박용숙박용숙이구열유홍준이경성김인환



여체와 여인상의 造形詩

이구열 (미술평론가)



주로 나상의 여체 조각으로 약 20년간 일관하였고 앞으로도 그 단일 주제의 다변적 형상추구를 관철하겠다는 의지의 고정수 조각예술의 태도와 그 건강한 생명력 및 조형적 변용의 특질은 많은 사람이 익히 알고 있는 각별한 주목의 내면이다.

그의 여성 나체조각의 실상은 사실적인 여체미 찬미나 현실적 시각의 선정적 재현이 결코 아니다. 여체의 형태적 본질미인 생동적 육감, 그를 생성시키는 미묘한 선과 굴곡과 양감의 조화 및 통일성, 그리고 여러 부분의 균형과 비례의 미적요서 등이 이루는 자율적 표정의 무한한 변주를 창조적으로 조형하려고 한 세계이다. 앞에 말한 바와 같은 특성으로 고정수는 사실적 내지 자연주의적 표현감정 중심의 다른 조각가들에서 보는 전통적 나체조각 양상의 유형과는 다른 면모를 구현하고 있다. 화강암, 대리석 등의 돌과 청동주조로 이루어지는 이 작가의 여체상은 아주 건강한 몸매와, 순후하고 믿음직스러우며 풍만한 생명감의 모습 및 표정을 강조하면서, 어떤 상징성과 기념적인 상형으로 귀결시키고 있다. 그러한 상징적, 기념적 상형 지향의 조형정신은 그 여인상들을 얼굴 표정에서부터 좌상, 입상, 와상 등으로서의 다양하고 상상력에 넘치는 자태 및 움직임을 자유로운 과장 혹은 변용으로 추구하게 하고 있다. 곧, 고정수의 창조적 조형으로서의 양식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정적이면서 풍부한 정감의 표정과 동적요소를 함께 내재시키고 있는 그 형상들 – 단신상, 2인상, 3인상, 그밖에 군상-은 그 양식화의 의도로 인해 유형적 얼굴과 머리 모습과 짧은키에 터질듯이 살이 찐 몸매, 과장되게 굵은 팔 다리와 손발의 표정, 특히 유방과 엉덩이 부분의 탄력성 강조 등이 자재롭게 조형되면서 독특한 고정수 세계를 성립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 비특징적 남녀상의 기념적 상징성에 대해 작가 자신이 한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한적이 있다.

“여체를 다루다 보니까, 여체는 곧 모신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둔부를 강조하여 볼륨으로서 양감의 극대화를 시도했다. 처음에는 의도적이었으나, 차츰 나 자신도 모르게 내 영혼이 깊이 스며 들었다.” (1984. 선미술. 여름호)

사실 고정수의 여체상들은 보고 느끼기에 따라 동서양의 고대미술에서부터 볼수 있는 생산, 출산, 풍요 상징의 ‘모신상의 요소가 충분히 감지된다. 다시말해서 그것은 ‘영원한 모성’의 형상화와 인격화의 표현감정 및 조형정신을 내재시키고 있는 것이다.

고정수는 근래의 또다른 한 인터뷰에서 그의 여체상을 ‘한국 여인상의 정감’과 결부시킨 말을 하기도 했다. “내가 내심 그리워하던 여성상이 바로 이런 것이었구나 하는걸 나중에 꺠달았다”(1989)

이 말은 그가 청년작가 시기부터 많은 조각가의 일반적 소재인 여체작업에 집중하면서 그의 표현감각과 조형취향을 충족시킨 여인상의 전형에 도달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극서은 곧 작가의 마음의 여인상 창조인 셈이며, 현재와 앞으로도 계속 추구하고 실현시키게 될 목표의 정립을 밝히는 말이다.

그의 ‘초기 여체상은 주로 ‘자매상’과 보편적 포우즈의 ‘단신상’이었다. 그러면서 그의 예술적 재능을 충실히 다진 작품으로 국전과 기타 중요한 공모전에서 수상을 거듭하며 특출한 신예로 각광을 받은 과정을 가졌다. 그 기반 위에서 1983년 선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가질 때의 여체작업은 (자매)외에 (상), (율) 등으로 명제가 붙여진 연작이었다. 그것은 이작가가 여체의 총체를 정감적인 구체적 이미지와 생명감의 율동미를 파악하고 강조하여 그의 조형창작을 성취하려고 한 집착을 말해준 것이었다. 그 (상)과 (율)은 그 자체의 변화미와 생성미를 발현시키고 있었다.

1989년의 가나화랑 기획 ‘고정수 야외조각전’이 보여준것은 그간의 그의 전형적 여체상, 여인상 조형양식이 한결 더 다감하게 추구된 형상미와 표정미에다가 작가의 마음의 설명이 명제로 표명된 것이었다. 가령 (고용함 속에서 태어나다)로 명제된 순박하고 풍만한 모습의 반쯤 누운 나녀상은 그 표정의 고요함과 여신의 탄생을 연상케하는 구체적 설화상에 상징성이 합치된 작품이었다. 그밖에 (바라본다, 넌 들판을 본다), (눈감으면 더욱 잘 보이느니), 넉넉하게 태어나야지), (우리 가다림 여기 이르렀으니) 등의 서사적 내지 서정적 구상의 여인상들도 명제가 시사하고 은유하는 내면성을 깊이있게 조성한 것이었다.

이번 개인전 작품들도 그 연속적 집착과 줄기판 형상변주 및 이야기의 무한한 확대로 골조각과 청동조각으로 일관돼 있다. 역시 문학적이며 이적인 명제들이 작가의 창작적 상념과 의중을 면료하게 내보이고 있다. 그 작의는 궁극의 입체적 ‘조형시’로 말해질만 하다.

(소리를 쫒는 사람들), (소리를 바라보다), (가슴에 삼킨 소리), (온몸으로 소리를……), (소리와 나눈 이야기)등 ‘소리’ 곧 음향과 음률의 감각미로 여체미를 신성화하려고 한 연작과 (기다림의 언덕),(달맞이), 내 여기 이르렀으니), (어린듯 취한듯) 등의 명제 자체가 보는 사람의 마음과 느낌을 한없이 사로잡는다. 여체와 여인상에 집중되는 구상주의 조각가로서는 고정수의 그 창조적 성향이 어디까지 추궁돼 갈 것인지 사뭇 궁금하질 따름이다.












고요한 나날 (Tranquil Days), Korean marble, 47 x 29 x 29cm, 53kg, 1991





박효진김이순이재언박용숙박용숙이구열유홍준이경성김인환



팔등신에서 사등신의 육체에로 -고정수의 돌작업에 부쳐-

유홍준 (미술평론가)



내가 알고 있는 조각가들은 모두 힘이 장사다. 체력만 강할뿐만 아니라 우직스러울 정도로 밀어붙이는 추진력과 끈기도 대단하다. 허기사 조각한다는 일은 그것 자체가 중노동이고 제작공정이 길기 때문에 육체적으로는 체력이, 정신적으로는 지구력이 없으면 애초부터 감당해 내기 어려운 일인지도 모른다.

고정수는 그런 중에서도 ‘힘의 조각가’라는 인상을 우리에게 심어주어 왔다. 그는 대학에서 미술수업을 마친 이후 줄곧 인체조각, 특히 여체의 탐구로 일관해 왔으며, 그의 여체조각이란 아름다움의 탐구가 아니라 여체의 힘에 조형목표를 두고 있었다. 엉덩이가 유난스럽게 크고 젖가슴이 터질 것같이 부풀어 오른 그의 여체상은 결코 성적 감정을 촉발시키는 감각적인 누드조각의 감미로운 곡선이 아니라 반대로 생산자로서의 여체에 대한 찬미일 것이다.

인류가 만들어낸 최초의 예술품이라고 하는 약 3만년전의 조각 ‘빌렌도르프의 비너스’가 보여준 다산과 풍요의 상징으로서 대지의 어머니같은 이 원시조각에서 받은 감동을 현대 산업사회에 전도하려는 뜻이 분명했다. 에드와르 훅스가 ‘풍속의 역사’에서 20세기의 여인을 ‘성의 상품화’ 시대에 살고있는 모습으로 묘사해낸 것처럼 이 시대의 여체는 부당하게도 남자들의 시각적인 즐거움을 위한 노리개 취급을 받아온 혐의가 있다. 고정수는 그것을 완전히는 아니어도 본질적으로는 거부해온 것이다. 그는 차라리 원시작 건강성에로 회귀해 버리는 태도에서, 그래서 단순하고 소박한 감성을 유발시키는 그의 독특한 비만형 여체를 만들어 냈던 것이다.

여체조각에 대한 이와같은 접근은 자연히 근대조각에서 보여준 여러 구범들이 그의 조각에는 적용될 수 없었다. 서양미술사에서 인체조각은 그리스 고전 미술의 폴리크레이토스 이래로 8등신이라는 모듈에 입각한 것이었다. 이상화된 인간상으로서, 즉 여체가 가장 아름답게 보이는 인체비례로 규정된 것이다. 그리고 몸동작은 빌헬름 보링거가 지적한 ‘감정이입’의 정신, 즉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마치 살아있는 듯한 실제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방향으로 계산되고 묘사되는 것이 하나의 전통이었다. 그러나 고정수는 이 인체조각의 고전적 원리를 근본부터 부정하면서 여체의 '아름다움’이 아니라 여체의 ‘힘’ 내지는 내재된 생산성에의 찬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만 이 원리를 적용했다. 그 결과 고정수의 조각에서는 현대적 감각을 추구하기 보다는 현대사회에서 잃어가고 있는 중요하고 원초적인 감각의 하나를 환기시키는 특징을 지녀왔던 것이다.

그것에 대한 관객의 반응은 둘중 하나였을 것이다. 감미로움, 아릿다움을 추구하는’멋쟁이’의 눈에는 부담스러움이고, 현대적 미의 경박성에 혐오감을 갖고 있는 눈에는 원시작 생명력이 연상되는 소박한 아름다움의 만남이 된다. 다양한 취미의 형태가 공존하는 현대사회에서 이처럼 상반된 취미판단이 나타나는 것은 현대조각가의 한 여건일 뿐이다.

고정수는 이러한 여체조각으로 자신의 예술목표를 성정한 이후, 규범으로부터 벗어나는 자만이 가질수 있는 자기 변호의 논리를 갖추어 간 것을 나는 알고 있다. 이를테면 8등신의 원리라는것이 서양인의 체질에 입각한 것이므로 우리의 신체구조에는 맞지 않는다는 당연한 사실, 해외 미술계의 연수과정에서 본 현대조각의 다양한 발상과 개성의 강조가 우리 미술계에서는 경직되게 나타나는 현상에 대한 회의와 비판등을 기회가 있을 때 마다 주장하고 글로 써 온 것은 소위 모더니즘의 미학에 휘말리지 않고 스스로 느끼고 생각한 바를 지키고자 하는 외로운 자기 방어였던 것이다. 그런 가운데 고정수는 자기를 굳건히 지키는 방법을 체득하였고, 현실과 세계를 인식하는 시각에도 서서히 변화가 일어났던 것이다.

이번 조각전에서 그가 화강암 작품으로 일관되게 추구한 것은 결코 야외조각전임을 감안한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우리나라의 화강암이 지닌 재질의 특징과 친숙한 맛에 심취하여 이태리 대리석을 거부해온 결과이다. 우리나라 화강암은 그 질이 견고할 뿐만아니라 색감도 다양하다. (나는 이제 더 잃을 것이 없구나)의 여인상은 붉은색이 감도는 상주돌이고, (눈을 감으면 더욱 잘 보이느니)의 잿빛 화강암은 포천돌이다. 여기에 신북돌, 운천돌들은 또 다른 질감을 보여주는데 고정수는 이처럼 재질에 있어서 향토적 특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인체의 탐구에서도 (우리 무엇을 만들까)의 3여인상에서 명확히 보이듯이 인체비례는 4등신으로 변형시켜 놓고 있다. 본래 4등신은 어린 아이의 신체비례에 속한다. 그러나 몸매와 얼굴은 어린이가 아니라 처녀로 되어 있어 이 작품에는 비례의 불균형이 확연히 드러나는데, 고정수는 오히려 여기에서 소박한 맛과 친숙감을 더욱 강조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최근 우리 미술계에서 서구미술의 영향으로부터 주체적인 미술에로 자리바꿈, 아니 원위치하려는 움직임이 강하게 일고 있는 것을 볼수 있는데, 그것은 크게 두가지 방향에서 접근되고 있다. 하나는 내용상에서 이 시대의 현실적인 과제를 담아가면서 자신의 본래 모습을 찾아가는 것이고, 하나는 형식상의 추구에서 서구적인 원리로는 자신의 예술을 만족시킬수 없음으로 해서 일어나는 전환의 형태이다. 후자의 방향에서 주체적이고 민족적 감성과 특성을 찾아가고 있는 고정수의 조각은 이러한 시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내용의 변화는 새로운 형식을 창조하고, 새로운 형식에의 탐구는 자연히 내용을 변화시킨다는 변증법적 논리가 여기에도 적용되어 고정수의 최근 조각들에는 (이제 우리 차례야), (넉넉하게 태어나야지)같은 확실한 명제와 뚜렷한 주제에로 나아가고 있다. 몇해전만 해도 (정), (율), (상)등 막연하게 형식적인 명제를 붙일 때와는 완전히 다른 태도이다. 그만큼 고정수는 자신의 작업에 대하여 확실한 신념을 갖게 됐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그의 작업장에서 이번 출품작들을 보면서 나는 그에게 몇마디 물어본 것이 있다.

- 대학교수라는 직장이 주는 편리와 사회적 지위의 보장이 있는데 그걸 버린 것은 대단한 용기인데요. 망설이기는 했지만, 작품에 지속적으로 매달려서, 맥을 끊지 않고 생각해 내야 좋은 작품이 된다는 것을 늘상 느껴왔고, 내 생애에 대한 시나리오를 펼치기에는 교직과 작가생활을 병존하는 것이 부담이 되어 왔습니다.

- 4등신 조각의 절묘한 구성의 묘는 삼국시대 불상조각에 좋은예가 많은데, “날이 갈수록 우리 전통문화의 우수성과 독특한 미감에 깊은 감동을 받게 됩니다. 앞으로 이런 것을 나의 조각에 살려 보려고 해요. 시간이 좀 있으니까 많이 가서 보고 느껴야겠다는 마음 먹고 있어요.”

- 지금까지 조각에는 곡선과 직선, 양괴와 선묘 등의 변화, 대비효과 보다는 나름대로 추구한 조형요서에 의존해온 것 같은데 “그게 사실은 매우 어려운 주문인것 같아요. 상반된 조형요소의 절충, 대비는 아직까지 제 작의에 걸맞지 않았어요. 그렇지만 앞으로 마케트를 통해여 시도해 보고 싶습니다.”

작업장에 돌아다니는 그의 모습에는 확실히 힘든 노동을 하는 사람만이 보여주는 걸음걸이와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배어 있었다. 그 엄청난 일량,큰 돌덩이가 사람의 모습으로 벗겨지는 과정을 상상해보니 평자의 주문성 요구도 가볍게 할 것은 아닌 것 같았다.


Shifting Away From A Well - Proportioned Beauty

-Sculptor Koh,Jeong Soo and His Art World-

You,Hong-June (Critic)



All the sculptors that I know have the strength of a horse. They are outstanding not only in their physical strength but also in their tenacity and propulsive force. As sculpturing itself entails hard labor over a long period of time, a sculptor is naturally required to have these qualities. Sculptors are generally energetic and powerful, but Koh Jeong - soo, in particular, stands out most as "a sculptor of power." Koh, majoring in sculpture at a college of fine arts, has been engaged in sculpturing figures, especially female figures.

He creates female figures not to seek feminine beauty, but to express their power or strength. His female figures have unusually large hips and besoms, but they should not be compared with the curves of a female nude rousing sexual desire. On the contrary, Koh tries to praise the female body as a kind of producer. He apparently tries to deliver to modern industrial society the impression he had of the famous "Venus" a symbol of fertility and affluence, discovered in Willendorf about 30,000 years ago Widely regarded as the oldest artistic work of mankind, Venus represents the Mother Goddess. In his "History of Customs," Eduard Fuchs described the women of the 20th century as living in the age of "the commercialized sex."

As Hooks said, female bodies have been allegedly used to the visual pleasure of their male counterparts in the 20th century. Sculptor Koh, however, rejects that kind of charge fundamentally, though not completely. By returning to the primitive, healthy beauty, Koh creates obese female figures in the lovely bloom of health in his own unique manner. His female figures evoke the senses of simplicity and humbleness. His approach toward his creations, thus, runs counter to various rules that most modern sculptors follow. Since Polyclitus of the classic period in the art history of the West, sculptors have featured well - proportioned human bodies. with the head taking one eighth of the height. That has been regarded as an ideal proportion, with which a human body, especially the female one, looks the most beautiful.

In addition, as Wilhelm Worringer pointed out, the principle of "empathy" has traditionally been applied to sculpture. In other words, sculptors have tried to feature human bodies as if they were alive. However, Koh, Jeong-soo fundamentally denies all these principles of classic sculpture. He applies them to his works only when they cannot damage his intention of praising "power" or "productivity" inherent in female bodies, rather than their outward beauty. As a result, Koh's works do not seek modern senses. Rather, they seem to restore the most primitive yet important senses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lose. People's responses to his works are divided: They give discomfort and look quite burden some to the dandies" seeking sweet beauty; but those who abhors the frivolity of modern beauty welcome his works as they see the beauty of his simplicity, reminiscent of an unaffected, primitive life. Once he set his goal of artistic endeavor at the sculpturing of such female bodies, Koh began to establish a logic with which he could justify himself and his efforts to get away from traditional regulations. For instance, he argues that the principle of the 1 : 8 proportion originated in the West and need not apply to the Asian. He also criticizes that various ideas and unique characteristics, valued in modern Western sculpture, are shown to be very inflexible when adopted to Korean sculptures. Koh takes every opportunity to question and criticize foreign elements. It is his lonely struggle to defend himself, to follow what he feels and thinks, and not to be embroiled in the so - called "aesthetics of modernism." In so doing, Koh came to realize how to defend himself, and has changed his viewpoints of reality and the present world on a gradual basis. The works on display at this exhibition are made of granite. In fact, Koh used granite not simply because it would be an outdoor exhibition : Indulged in the unique quality of the familiar granite rock, Koh has rejected Italian marble.

Granite produced in Korea is known for its durability and variety of colors. For "I have no more to lose," the sculptor used reddish granite produced in Sangju. The snow-white granite used for "With the eyes closed, you can see it better" was produced in Yosan, and "Born in silence" is made of grey granite from Pochon. Granite produced in Shinbuk and Unchon is also used, showing all the different textures. This way, sculptor Koh accommodates local characteristics actively through a selective use of materials. As clearly seen in the three women figures, "What shall we make?" Koh creates unproportioned female bodies with the head constituting one fourth of the height. The proportion is characteristic of a child's body, but the face and body take the shapes of a grown - up lady. Sculptor Koh believes that the apparent imbalance adds to the senses of simplicity and familiarity.

Recently in Korea, it has been strongly called for to escape the influences of Western art and to establish or restore the identity of the nation's traditional art. In fact, the art movement has been approached in two ways : One is to seek the original image of ourselves by featuring the tasks of a modern society. The other is to shift away from the principles of Western art which cannot fully meet our needs. While the former is an approach through substance and content, the latter is an approach through style and form. With the second approach, sculptor Koh tries to seek national feeling and unique characteristics. As dialectics dictate, changed contents will create a new form, which will, in turn, change the contents. Koh's recent works clearly show that kind of dialectical development. "Now is our turn" and "Better to be born rich," for instance, have obvious subjects and themes.

It is a clear departure from several years ago. At that time, Koh used vague and formal titles, such as "Silence," "Rhythms" and "image." Such development attests to the fact that he has developed a strong faith in his work. I had the opportunity to visit sculptor Koh's studio located in Guri City, Gyonggi Province, and asked him several questions, viewing his works to be displayed in the up coming exhibition.

Q : You must have had courage to give up all the conveniences and solid social status you could have enjoyed as a faculty member of a university.

A : I couldn't make up my mind at first, but I decided to leave the school because I have always felt that good work requires total devotion of an artist. Another thing, I have a scenario of my entire life, under which it is difficult to do both at the same time.

Q : Buddhist images dating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give good examples of human figures with a 1 : 4 proportion.

A : As time goes by, I am getting more and more deeply impressed with the outstanding and unique aesthetic senses of our traditional culture. I will try to express those aesthetic values in my sculptural works. In order to do so, I will visit the relics, and see and feel much.

Q : I understand that your works have depended on something other than the techniques of changing or contrasting curves and straight lines, and mass and lines. Do you have a plan to apply these techniques?

A : In fact, it is a very difficult request. I didn't think that it befitted my intention to compromise or contrast two opposite elements. But now I want to make such attempts, too.

Sculptor Koh at his studio reminded me of a hard laborer. In hindsight, I came to realize that we should not request a sculptor to do too much without due reflection, in consideration of his heavy work burden.












정 85 - 3 (Silence 85 - 3), Chinese marble, 50 x 39 x 33cm, 52kg, 1985





박효진김이순이재언박용숙박용숙이구열유홍준이경성김인환



고정수 조각전

李慶成 (국립현대미술관장. 미술평론가)



조각가 고정수와 나의 만남은 그가 홍익대학교 조각과 학생이었던 시절 강의실에서 만난 것이 첫 대면이었다. 그러나 더욱 더 짙은 관계를 맺은 것은 내가 미술학부장 시절에 조각과 조교로서 나를 보조할 때부터 였다. 더구나 그는 고등학교를 인천에서 나와서 동향이라는 지연이 더욱 더 깊은 관계를 맺게 했다.

그후 그는 조각가로서 성장하였고 광주에 있는 조선대학교 교수로 부임한 이래 예술상의 많은 진전을 보아 조각가로서의 재질을 굳혀갔던 것이다. 더욱 지난번 샌프란시스코에서의 전시회를 계기로 해서 시야가 국제적으로 되고 작가적인 자신감을 얻는 것 같다.

조각가 고장수는 철두철미하게 여체만을 다루는 사람이다. 그가 왜 대상을 여체로 한정시켰는지 그 이유는 몰라도 많은 조각가들이 여체 속에서 미의 본질을 찾으려는 취향이 있기에 그도 조물주의 작품중에서 가장 아름답고 모든 미의 원천을 갖고 있는 여체에 집착한지도 모른다. 하나의 주제를 설정하고 그 주제를 위해서 끈질긴 모력을 하는 것은 현대 작가로서의 바람직한 태도인지도 모른다. 밖으로 전개되는 미의 영토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그것도 여체가 형성되고 있는 구조라든가 비밀을 일일이 찾아내서 그것에 대한 정당한 해답을 하는 것은 작가적인 태도로서는 바람직하다. 그가 여체를 통해서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이 조형의 성과로서의 비밀탐구에 있지만은 궁극적으로는 생명의 본질을 찾아내는 데 있는 것이다.

그의 여체는 한결같이 풍만한 볼륨을 갖고 있다. 이와같은 풍만한 볼륨도 그의 작품의 성격을 형성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의 여인에 대한 바램과 전체적으로는 그 시대가 갖고있는 하나의 경향을 대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조각사는 인체를 중심으로 해서 발전해 왔다. 허버드.리드도 진정한 조각의 아름다움은 등신대의 인체 속에서만 찾을수 있다고 했다. 등신대를 넘는 조각들은 조각이라기 보다는 모뉴멘트라고 단정지었다.

인간들의 여체에 관한 취향도 시대에 따라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중세의 이상적인 인체는 깡마른 수도자적인 형상이었다. 그러나 르네상스 이후 바로크를 통해서 서양사람들은 풍만한 여체속에 감각의 기쁨과 더불어 아름다움을 발견했던 것이다.

조각가 고정수의 작품이 풍만한 볼륨을 갖고 있다는 것은 그러한 의미에서 현대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없는지......

더욱 볼륨의 예술인 조각에서 볼륨을 액면대로 긍정하고 그러한 긍정 속에서 프로모션이나 모델링 그리고 구조의식을 활성화시킨 점 등 그는 확실히 자기의 언어를 가진 조각가라고 할 수 있다.

이리하여 조각가 고정수는 마침내 국제적인 시야와 더불어 국내적 영역에서 자기의 작업을 추진하는 무르익는 시기에 도달한 것이다, 앞으로 그를 지켜보는 사람은 나뿐이 아닐 것으로 생각된다.


Sculpture Exhibition by Jeong soo, Koh

Kyung, Sung Lee (The Director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Art critic)



My aquaintance with sculptor Jeong Soo Koh dates back to the time of his membership on the sculpture faculity in the Hongik University. However, a closer relationship between us began since he assisted me as a teaching assistant when I was the dean of Art College.I became more closely acquainted with him because he was a graduate from high school in Inchon, my home town.

He has grown as a sculptor and showed considerable developmentin artistry since he became a professor in the Chosun University in Kwangju. It seems to me that his artistic view is broadened to be worldwide and, therefore he is able to be confident in his art, with his last exhibition in Francisco as momentum.

Sculptor Koh has treated the female body only from beginning of his work to the present. I do know why he limits his objects to the female body but I assume that he persistently adheres to the female body, the greatest source of beauty among the God's creatures, just as many other sculptors who try to find the essence of beauty in the female body. It may be a desirable attitude for modern artist to set up his own everlasting theme and to make continue effort to explore it. I think that it is a right attitude as an artist not to find the external territory of beauty but to find out the structure or secret by which a human being, in articular, a female body, is made and to search for just answer there to. What he pursues through the female body is, needless the study of secret as an achievement of modeling but, in the end, the search for the essence of life.

The female body he creats always has a plum plump volume. Such plump volume which forms characteristic of his works not only represents his personal hope to woman but also an artistic tendency that contemporary age shows. The history of sculpture has been developed with the depiction of the human body. Herbert Reed stated that the true beauty of sculpture can be found only in the life-size human body. He asserted that a sculpture larger than the life-size is not a sculpture but merely a monument.

Men's taste with respect to the female body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and circumstance. The ideal image of human body in the Middle Ages was the thin monastic one. But Western people found the beauty, together with sensuous delight, in the plump female body from the Renaissance through the Baroque Age. Therefore, it may be said that the plump volume which appears in the works of sculptor Koh suggests that his works have the modernistic implication in a meaning as above.

We can say that he has his own definite language, considering that he acknowledges the volume itself as it is, in sculpture, the art of volume, and activates the proportion, modeling and structure consciousness.

Sculptor Koh has arrived at the period of maturity when he can freely devote to his works domestically with the worldwide view which he obtained through his exhibition in San Francisco. I think that I am not the only person who will watch the growth in his art in the future.












정 85 - 2 (Silence 85 - 2), bronze, 62 x 42 x 58cm, 95kg, 1985





박효진김이순이재언박용숙박용숙이구열유홍준이경성김인환



女体를 통한 生命力의 本質 추구

金仁煥 (미술평론가)



최상의 가치를 지닌 예술작품이란 물론 만인에게 정신적인 확신을 심어주는 것이여야 할테지만, 동시에 모든 애호가들에게 즐거움을 공급하는 일도 긴요한 것이라 생각한다. 생활의 일상에서 누구나 겪게되는 어려움 가운데 특히 고통이라든지 비애, 전율의 감정따위를 몰아내기 위해서도 우리는 어떤 종류의 즐거움의 충일를 구하게 되는데, 무릇 예술작품을 통해서 원망할수 있는것의 하나가 그것일터이다. 아름다운 것이란 즐거움이며 그 자체가 충일이다.

아름다움의 원천을 이산적인 인체에서 찾으려 한 고대 그리이스 이래, 특히 과부상에 대한 예찬은 많은 미술가들의 공유하는 테마로 다루어져 왔다. 여체가 지닌 굴곡과 볼륨이 다만 관능적인 대상으로 뿐만이 아니라 건강한 생명력의 표준으로, 00과 풍요의 상징으로 떠받들어지고 예찬되어져 온 것이다, 멀리는 ‘뷜렌돌프의 비너스’에까지 거슬러 오르고 ‘미로의 비너스’를 거쳐 내려오는 여체찬미릐 조각역사는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조각가 고정수가 추구하는 테마 역시 오로지 여체조각으로 귀결된다. 풍만한 볼륨의 탄력성있는 여체의 갖가지 동작 가운데 펼쳐지는 다채로운 삶의 표정은 한결같이 환희로 충전되어져 있다. 인체를 통해서 생명력의 본질을 추구하는 작업을 작가는 자신의 소임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양팔과 다리를 모으고 꾸부린 자세로 앉은 여체, 대지를 향해 힘껏 달리며 손짓하는 여체, 도약하는 포즈를 취하며 포옹하는 여체군상.....등 모두가 싱그러운 알몸의 율동인 작품에서 작가는 원시적인 소박성과 자연의 강렬함을 융합 시키고도 있다. 도시적 세련미보다 조양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체이미지가 풍기는 그 신선한 풍만이야말로 밝은 태양이 지배하는 대기속의 자연이며 원초의 인간모습인 것이다.

작년의 멕시코여행에서 작가는 그가 추구해야 할 바의 지표에 대해 하나의 단서를 얻을 수 있었는데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의 예술이 갖춰야 할 기본골격이 우리의 지표에 뿌리를 박아야한다는 각성이었던 것이다. 이 땅의 토질에 맞는 감성적 빛깔, 토착적인 언어의 모색이 1차적인 과제임을 그는 절감하게 되었다. 종래의 그의 작품세계 역시 그 언저리를 떠났다고는 할 수 없겠으나 그는 더욱 더 그 문제에 부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작가가 특히 주력하여 다룬 재료는 브론즈로서 금속의 매끄러운 피질 가운데 연마되어 살아나오는 여체의 형상은 광택적이면서 단순하고 명쾌한 擬結感을 자아내게 한다. 근작에 있어서는 브론즈에 병행하여 석조조각에도 손을 대고 있다.


The Pursuit of the Essence of Vitality through the Female Form

Kim, In Whan (Art Critic)



The work of art that carries the highest value is, of course, one which implants spiritual confidence in everyone, and at the same time, I think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pleasure for all art lovers. We come to seek fulfillment in certain kinds of pleasure to wipe out especially the feelings of pain, sorrow, and fear which are among the difficulties which everyone may face in their daily lives. In general, this is one of the things that can be desired through works of art. Beautiful things are pleasure, and that in itself is fulfillment.

Since the late Greek period, people have tried to find the source of beauty through the ideal human form. Especially, the glorification of the nude female figure has been the theme echoed by many artists. The inflection and volume of the female figure has been admired and held in high esteem not only as a voluptuous object but also as a symbol of wholesome vitality and of harvest and abundance. The sculptural history of the glorification of the female figure, going as far back as WiHendorFs Venus and passed down by Miro's Venus, can be understood in such a vein.

The theme pursued by sculptor Koh, Jeong Soo is also directed exclusively toward sculpting the female form. Differentiated expressions of life expounded in the various motions of plump and voluptuous bounding female figures are as charged as ever with delight. He has accepted as his own the task of pursuing the essence of vitality through the human form. Female figures gathering their legs in their arms, seated in a stooped position; female figures running on plains with out spread arms; female figures jumping and embracing in groups ...... Through all the works flows the rythm of live nude bodies. The artist is uniting in one the native simplicity and intensity of nature. Fresh plumpness set forth by the image of the female figure characterizing rusticity rather than refined urban beauty is nature in the air controlled by the bright sun, and is the native human features.

During his tour of Mexico last year, this artist may have obtained the key to the object of his pursuit. It was an awakening to the fact that the basic form which his art should possess must take root in our soil. He has come to sincerely feel his primary task as being the search for sensitive tones suited to the nature of the soil in this region and the search for the aboriginal language. It cannot be said that his former world of art had left these boundaries, but it can be seen that he is striving more and more in this area.

It is bronze that this artist has been primarily working with, producing improved living female figures in smooth metal and arousing a lustrous, simple, and lucid feeling of solidification. In his recent works^ he has been working with stone sculpture along side of bronze.













상 - I (Figure - I), Korean marble, 45 x 75 x 55cm, 274kg,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