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 black body, black substance

Park,YoungTaek (Art crtic,Prof,Kyungki University)

Black pictures were stopped in artist workplace where was located in Iksan. Silent and free time, I did confrontation too black picture in the sunshine of bright and colorful late autumn. That was black things and looks like black human.

Most of his artworks is the nude of man. That is directed gesticulation by artist , body language and is filled with silhouette which indicate to inside of human. Naked men get off their back or drop their head or lie face down or couchant. Face which bolted out specific information and body are just animal the flesh, that gesture, are listened attentively to emanative signal tone by body.

It is seems to be explosive sound of complicated inner and gesture of silence or importunate imprecision of existence. Definitely, artist seems to be expression 'that one'. So, artist don't paint human as appearance but paint 'A metaphysical quest' or psychological anxiety and sexual anxiety, otherwise seems to be materialization of his theme which widely encompass universal existential struggle etc. All the while, Kim Seongmin would sequaciously materialize these theme so naturally material of his works is always naked body of human and appear lump of beef in the slaughterhouse or ox head in the same context. I am considered that he had a command of expression also expressionistic making a brush stroke and color which described intensely object itself and dispensed resolutely with background or simply. By the way, one problem is not easy that he directed sensational composition, making a brush stroke and color, the same time should describe body of human and face of his own style.

He said about impact when saw Schiele, Egon's book of paintings after returning to school immediately after he was discharged from military duty. His picture in other words nude remind of Schiele, Egon's direct influence. Of those who paint body of human, few dislike body pictures of Schiele, Bacon and Freud. It may well to be moved by outstanding reappearance and imagery.

In fact, Schiele is a top-rated artist as over. Especially, first outstanding dessin ability, distinctive the ability to construe body of human, exciting composition, color, flexible making a brush stroke and merit etc. that is why many art lovers like his artworks in brief he draws cleverly. Schiele's nude and self-portrait are intense and true as much again because it is completely difference from previous aesthetic and body of standardization.

The body which is reappeared by him sincerely expose panoptic of the existence of humans, apprehension and affliction etc. He divulge through picture to fill up in skin, unknowable and unable to visualize. It may potentialize that penetrating eyes which expose the object until he remove that be tied a specific frame or shoddily make beautiful the picture or be conscious of others. Maybe Kim Seongmin apparently wanted to draw the same as Schiele's body. He would express only himself methodology about the human that is different from Schiele of our time in present time as well as picture about fling a question about his presence. The body which he expressed is not picture which beautifully express certain model or realistic description but human being in himself interpretation. As human of Lump of flesh and limited existence, weak-kneed human which conflict between death and life, libido and ego. He used body/ meat for expression the human. It implies the body of human that the picture is covered rough and strong texture and too black and deep colors. color and substance, itself, show self-support situation and threw itself image to us. But that substance is not just substance stuff and extend a property of matter and a property of matter direct or imageable the other existence. The image is adhered that direct human's body as itself symbolic situation on the canvas rather than the image express or describe appearance of particular human.

The image is adhered eccentric and distinctive object that is made mix black lead powder and bond on flat surface. It is thick and rough and cracked. It is almost sculptural due to pop-up as alto-relievo. The picture and the embossment and substance itself, there are placed in that are mixed. On the canvas only black lead powder is led and adhere and sweep by artist's hand. This finger painting tactually conveys imagery human made by black coal. There are very interest that substance is pushed under and run down by the law of gravity, several layer make by substance put on, at once unfold of difference between solidify and crack to solidify again by difference of time, glossy that make grind prominent parts by stones.

The greater part, the pencil is a tool which draw the picture but unfamiliar painting, adhere that make black lead Powder like pigment, is sculptural painting that black lead powder is made on a plane. He cover and go ahead push black substance, black lead powder or touch partially the pencil and grind using stones and then demand to listen to inside voice and psychological message which radiate in body of human. It is clearly fastidious problem that how can do it imagery? but the excellent artist and particular work assign a certain body to that drag unseen, non-visible image out of the visible world and the thing which can not be heard, to exist just indication or feeling. That is also their work.







너무 검은 몸, 검은 물질

박영택(경기대교수, 미술평론)

익산에 위치한 작가의 작업실 공간에는 검은 그림들이 세워져있었다. 조용하고 한가한 시간, 밝고 화사한 늦가을의 햇살을 안고 너무 검은 그림과 대면하고 있다. 그것은 검은 물질이자 동시에 검은 인간의 모습이었다. 대부분 남자의 누드인데 그것은 작가에 의해 연출된 몸짓이고 몸의 언어이자 내면을 지시하는 실루엣으로 가득하다. 벌거벗은 남자들은 등을 보여주거나 고개를 숙이거나 엎드려있거나 누워있다. 구체적인 정보를 지워버린 얼굴과 몸은 그저 동물성의 육체, 물질성의 몸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 몸짓, 몸이 발산하는 신호음에 귀 기울이게 한다.

그것은 묵언의 몸짓이자 절박한 실존의 흔들림이거나 복잡한 내면의 파열음 같기도 하다, 분명 작가는 ‘그것’을 표현하려는 것 같다. 그러니까 껍질로서의 인간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 탐구’이거나 심리적 불안과 성적 불안, 혹은 보편적인 인간의 실존적 고뇌 등을 폭넓게 아우르는 주제의 형상화인 듯 하다. 그동안 김성민은 이 같은 주제를 일관되게 형상화해왔고 따라서 자연스레 소재는 항상 벌거벗은 인간의 몸이었고 그와 동일한 맥락에서 도살장의 소고기나 소머리 등이 등장했었다.

표현방법 또한 표현주의적인 붓질과 색채를 구사해왔다고 여겨지며 대상 자체를 강렬하게 묘사하고 배경은 단순하게 혹은 과감하게 생략해버리는 식이었다. 그런데 문제는 그 인간의 몸, 얼굴을 자신만의 스타일로 도상화 하는 한편 감각적인 구성과 붓질, 색채를 연출한다는 것이 만만한 문제는 아니었던 것 같다. 그는 군대에서 제대하고 복학한 후에 우연히 에곤 실레의 화집을 접했던 그 충격에 대해 말했다. 그의 그림, 누두는 실레의 영향을 어느정도 연상시키는 편이다. 그러나 그림을 그리는 이들이라면 대부분 실레나 베이컨, 프로이트 같은 작가들의 몸 그림에 경도되거나 좋아하지 않을 이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탁월한 재현과 형상화에 감동하는 것이야 당연한 일이다. 사실 실레는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작가다. 특히 수많은 미술인들이 그의 그림을 좋아하는 이유는 우선 탁월한 데생력, 독특한 몸의 해석, 흥미로운 구성과 색채와 붓질의 유연함과 매력 등일 것이다. 간단하게 말해 정말 그림을 잘 그리는 이다. 실레의 누드, 자화상 등은 이전의 정형화되고 유미적인 몸들과는 판이하게 다르고 그만큼 강렬하고 진실하다. 그가 재현한 몸들은 불안과 고뇌, 인간이란 존재가 지닌 모든 요소를 솔직하게 드러내버린다. 피부 속에 들어차있는, 알 수 없고 시각화할 수 없는 것을 그림으로 발설해버리는 것이다. 특정한 관습적 틀과 유형에 매이거나 그림을 매끈하게 다듬는 조악함이나 타인의 눈을 의식하는 시선 등을 지워버리고 철저하게 자신의 본능, 욕망, 불안에 이끌려 대상을 파헤치는 무서운 눈이 그의 그림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아마도 김성민은 그 실레의 그림과 같은 몸을 그리고 싶어 했던 것 같다. 그는 실레와는 다른 현재의 시간대에 당대의 인간에 대해, 자신의 존재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그것을 그림을, 자신만의 방법론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그가 그린 몸은 특정 모델의 몸을 아름답거나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그림이 아니라 자기 내면이 보고 읽은 인간의 모습이다. 살덩어리의 인간이자 유한한 존재로서 죽음과 생, 리비도와 에고 사이에 부침하는 그런 유약한 인간 말이다. 그 인간을 표현하기 위해 그는 몸/ 살을 매개로 사용한다.

너무 검고 짙은 색상과 거칠고 강한 질감으로 뒤덮인 그림은 인간의 몸을 암시한다. 색상과 질료는 그것 자체로 자활적인 상태를 보여주는 동시에 이미지를 안기는 것이다. 그림은 이미지이기 이전에 물질이다. 그러나 그 물질은 단지 질료덩어리에 불과하지 않고 물성과 그 물성이 지시하거나 환기하는 또 다른 존재로 비약하는 신비 사이에 걸쳐있다. 그 이미지는 특정 인간의 외양을 재현하거나 묘사한 그림이라기보다는 인간의 몸 자체를 지시하는 기호적인 상태로 화면에 부착되어 있다. 납작한 평면위에 흑연가루와 본드를 섞어 만든 기이한, 독특한 물질이 일정한 높이를 지닌 체 부착되어 있다. 두툼하고 거칠고 갈라져있다. 고부조로 튀어 올라와 거의 조각적이다. 그림이자 동시에 부조이며 이미지이자 물질 그 자체로 범벅져 있는 형국이다. 화면에 흑연가루 물질만이 급박하게 작가의 손에 이끌려 부착되고 쓸리고 얹혀져있다. 이 핑거페인팅은 검은 석탄으로 형상화한 인물을 촉각적으로 전해준다. 물질이 중력의 법칙에 의해 아래로 밀리고 흘러내린 자국, 몇 번에 거쳐 물질을 올려놓아 이룬 몇 겹의 층, 시간의 차이에 따라 굳고 갈라지고 다시 굳는 차이들의 동시적 전개, 부분적으로 튀어나온 부위들을 돌멩이로 갈아서 이룬 번들거리는 광택 등은 상당히 흥미롭다.

대부분 연필이란 재료는 그림을 그리는 도구인데 반해 흑연가루를 물질, 안료처럼 만들어 부착하는 이 낯선 페인팅은 흑연이란 물질이 평면위에서 만들어내는 조각적 회화다. 그는 검은 물질, 흑연가루를 화면에 덮고 밀어나가거나 부분적으로 연필터치를 주고 돌멩이로 갈아내면서 인간의 몸 안에서 발산하는 내면의 소리, 심리적 메시지를 듣기를 요구한다. 그것이 어떻게 형상화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분명 까다로운 문제이지만 좋은 작가, 작업은 눈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적 존재를 가시적 세계로 끌어내고 들을 수 없고 다만 기미나 느낌으로만 전해질 수 있는 것들에 모종의 ‘몸’을 부여하는 이들이고 그것이 또한 그들의 일이다.

재료에서 새로움을 주는 근작은 오일페인팅에서 벗어나 흑연가루를 갖고 만든 검은 몸이고 이 검은 몸 그림은 작가의 일관된 주제인 인간의 실존이나 내면세계와 같은 다분히 추상적이고 관념적일 수 있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매개가 되기 위한 시도에서 나왔다고 본다. 그러한 시도가 향후 어떻게 진척될 지가 무척 궁금해지는 근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