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artwork


    2015 A corner in the world ( Space of the memory)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mine and in life that enjoy smartly and busily space of mentality and heart, if you look the insidious part on the surface specify the bottom space, I have got to think that how current position, time and phenomenon formed and what I can expect odyssey.

    A memory in a corner can remain nostalgia and be beautiful but is not perfectly good memory to others and is withering a dilemma mechanism, if they believe perfectly good memory, remain fateful memory get betrayed oneself, want reproduction something but is the fool of this again when it ruminate and exist palely as times.

    Life is done from memory?, is done from time?, is it hostage to time and conciliated form memory?, How can I cope about dejectedness that is conciliated and get betrayed from fierce gushing my waste (language) in the meantime because as overlap time and memory and every moment time of slavery and emotional labor? Could these things be contained it what become homesick at a corner in the world? A memory place a certain tense close to the imagery and it overlap memory of a diametrically size and tense is more clear as imagery, imagery become a role as imagery more deeply because as tense. Their destiny cause as coexistence of imagery and tense may be one person in a crowd in a corner in the world where may become another thing and may be some place in a certain person's heart and may be someone's the strongest portion or soft centre.

    2015 세상의 한구석 (기억의 공간)


    나와 다름의 공간 그리고 정신과 마음의 공간을 스마트하고 바쁘게 즐기는 삶속에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을 구석진 공간으로 명시해 바라보면, 현재의 위치와 시간과 현상들은 어떤 공간을 뚫고 형성되었으며 어떤 오디세이를 기대할 수 있는가 생각해 보려 함이다.

    한구석의 하나의 기억은 향수로 남아 아름다울 수 있으나 다른 이에겐 온전한 기억이 아닌 시간에 갇힌 채 시들어가는 딜레마적 메커니즘으로, 그것이 온전하다고 믿는 순간 스스로 배신당하는 운명적 기억으로, 무언가 재생산되기를 바라지만 그렇게 창백하게 존재되고 시간으로서 그것을 되새김 질 할 때 다시 그것으로부터 농락당한다.

    삶은 기억으로부터 이루어지는가, 시간으로부터 이루어지는가, 시간으로부터 지배되고 기억으로부터 회유당하는 것은 아닌가, 시간과 기억이 중첩되고 매순간 시간의 노예와 감정적 노동으로 그동안에 치열하게 뱉어낸 나의 노폐물(언어)들에게 배신당하고 회유됨으로서 허탈함은 어떻게 감당하고 다독여 줄 수 있을 까, 이런 것은 어떤 세상의 한 구석으로 향수병이 되어 담기게 되는 것일까

    기억은 이미지에 어떤 시제를 붙여 놓으며 그것이 전혀 다른 크기의 기억으로 중첩되어 시제는 이미지로서 다시 선명해지고, 이미지는 시제로 인해 더 깊이 있는 이미지로의 역할이 되는 이미지와 시제의 상생의 역할로 그들의 운명은 또 다른 것이 될 수 있는 '세상의 한 구석'은 군중속의 한 사람 일수도 있고 어떤 한사람의 마음속 어딘가 일수도 있으며 누군가의 강한 부분일 수도, 연약한 부분일 수도 있다.

    2013,  2014  Life,  Daily life,  About the weakness


    The different thought and method of action from others got delusion named characterful human being as glorify my characteristic existence from them. The moment of fear when I realized that there was delusion, discourag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pleasure of one brush stroke, my brush could be not move my heart out, be consistent in self-torture attitude which exposed embarrassing personal facts that one brush stroke.
    Is there a brush for me? or Is there me for a brush?, Do the brush should move me? Do I should move the brush? To make strokes with a brush on the white canvas seems to be very difficult job, like that watch the mountain which will not be over, defend, blame myself and corner myself in argument by occasion of being not free from daily life heavy as iron lump. That is the core of weakness. Loneliness, dejectedness, emptiness, depression, fear, compulsion and repression etc. too many nervous disease are sources of weakness.
    The more that deny remain hysterical mentality state and I might catch the mental strength that keep weak willpower from break a brush like if wind is blowing, may be sway, become wet and melt. Some daily seems to last forever don't know that will be drained energy of everyday life as reveal weak bare skin even callus has formed on because of too slack and weak these surfaces.
    Do life should be forced to subsist on callus? Do make living to admit weakness and watch with mighty mercy? I watch unrevealed corner in smart, pleasant and busy life of the mental space and hearty space. Nowadays, most people tend to be strong-looking on the outside I feel compassion of life and found compassion about life in the past tense. I play the baby act to them making the point of intersection with my visual image holding narrow corner with compassion about their life that should be strong-looking in the present life.
    It cross objets which I found in the past tense and current everyday life and might find tense and would add depth of objets. To be find the objets were daily supplies, photography in current everyday life or can be food ingredients which could stubbornly find cause of certain opportunity. Two kind of objets can correlate or not but combination of that objets will be explained extractable text in the some books or messages.

    2013, 2014 삶, 일상 그 연약함에 대하여


    남들과 다른 사고와 행동방식은 나 자신이 그들과 차별화된 특질이 있는 존재로 미화되면서 개성 있는 인격체라는 망상을 만들었다. 망상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두려움이 붓 자국 하나의 성취감과 희열을 사그라트리고, 나의 붓은 하얀 캔버스를 마음껏 움직이지 못하고 붓 자국 하나의 나의 치부가 들어날 것 같은 자학적 태도로 일관하며 움직이지 않는다. 붓이 나를 위해 존재 하는가 내가 붓을 위해 존재하는가, 내가 붓을 움직이게 하는 것인가 붓이 나를 움직이게 하는가 하얀 캔버스 위에 붓질 하나 하는 것이 뭐 어려운 일이라고, 이 깨알 같은 행위를 넘지 못할 산을 바라보는 양, 쇳덩어리처럼 무겁기만 한 일상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방어하고 자책하며 자신을 궁지로 몰아넣는다. 그것은 연약함의 핵심이다. 외로움, 허탈과 공허함, 우울증, 두려움, 강박과 억압 등 많은 신경증은 연약함의 원천으로 그것을 부정 할수록 히스테리적 상태로 남아 그것으로부터 바람이 불어오면, 흔들리며 물에 젖어 녹아버릴 것 같은 연약한 정신력이 붓들을 꺾어 버리지 않게 붙잡아 보고 싶다.

    영원히 지속될 것 같았던 어떠한 일상이여 그 표면은 너무나 허술하고 연약해서 딱딱한 굳은살이 박이더라도 또다시, 연약한 속살을 드러내 일상의 에너지를 바닥나게 해버릴 지 모른다. 삶을 굳은 의지의 굳은살로 버텨야 하는가. 연약함을 인정하고 강한 연민으로 바라보며 다독거리며 살아야 하는 것인가, 내가 살고 있는 공간, 또는 타인이 살고 있는 공간 그리고 정신적인 공간과 마음 적 공간의 똑똑하고 바쁘고 즐거운 삶 속에서의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구석을 바라본다.

    겉으로 보기엔 강하게만 보이려는 요즘 삶의 연민을 느끼다가 과거 시제 속 에서 삶의 대한 연민을 발견했다. 그들이 바라보는 삶의 대한 연민에 대해, 강하게 보여야만 하는 현시대의 삶에서, 좁은 구석에 끼어 연약한 정신을 나의 시각적 이미지와 교차점을 만들어 그들에게 어리광을 부려본다. 과거시제와 현대 일상 속에서 찾은 오브제를 교차시켜 시제를 찾아내고, 오브제의 깊이를 더한다. 오브제를 찾는 일은 현 상황에서 찾을 수 있는 생활용품이나 사진 또는 갑자기 어떤 계기로 집요하게 찾게 되는 음식재료가 될 수도 있다. 두 가지 오브제는 연관성이 있을 수도 뜬금없을 수도 있으나 그 오브제의 결합은 어떤 책이나 메시지에서 찾은 텍스트로 설명 될 것이다.

    2011, 2012 Connecting link , Allegory

    I thought that faucets & pipes were what could join me and the world.
    As I saw the hole of broken pipe that was found by accident, experienced that everything of my body was sucked into the hole and I felt visually showed frank psychological conflict same as repeated in large numbers wandering and mistake and directional trouble that proceeded to future.

    Therefrom, to throw a question have been became a habit about conflict blindly hid in the hole as long as saw the pipe's hole and therefrom the pipe's hole have became entrance which could go into somewhere and that may be human's heart or squirmy certain imagination time and unfamiliar space.
    But it is not easy to jump in there and to come out through there. It ought to find the exit somehow and could be found the answer about that question. Always water squirting faucet become entrance which could go out somewhere. If it find the answer it may be watched the entrance and If it find the entrance first it may be found the answer. The entrance of pipe lure me anywhere and the faucet is wriggled anytime, anywhere. If you set out on a trip by hit-or-miss method in order to find your way which don't even know yourself or you are beginning to wonder in heart and head of humans, you should burrow into there.
    The entrance of pipe and faucet are passageway which explore the vast space and are guide who can be travel in vast space.And follow the passaged, through the door opened by chance, face concrete scenery which contacted my eyes. That was man-made rock which was made by great technology of human and was scenery that was booked for modern society, was place of our comfortable life.

    But sometimes felt dizzy in indiscriminate form of rocks.Recently, It become an object of public concern that jostle with each other for Noises through Floor in apartment. Always machine noise is heard without a pause through the window, thump of jump is heard in next door or in upside house, I also must carefully walk. Maybe even in minimum rest area, inconvenience the environment take away one´s composure. I look at the nature rock in drying, arid and feeling dizzy man-made rocks. Relaxed, magnificent and distingue rocks in nature, seoseokdae on moodeung mountain are seen like our apartment. That image is genuine beautiful rest area.



    2011, 2012 연결고리, Allegory

    수도꼭지와 파이프는 세상과 내가 연결 될 수 있는 그 무엇이라고 생각했다.
    우연히 발견한 부서진 파이프의 구멍을 바라 보다 내 몸의 모든 것들이 그 곳에 흡수되어 빨려 들어가고 있음을 경험하고 수없이 되풀이 했던 방황과 실수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성의 고민이 적나라하게 들어나는 것 같은 정신적 갈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았다. 그것으로부터 구멍이 보이면 무작정 그곳에 숨겨왔던 갈등과 질문을 던져보는 버릇이 생겼다. 그것으로부터 구멍이 보이는 파이프는 어디론가 들어갈 수 있는 입구가 되었고 사람의 마음속 일 수도 꿈틀거리는 어떤 상상의 시간과 공간이 될 수도 있는 낮선 공간의 입구가 된다.

    그렇지만 그곳에 뛰어들고 빠져나오기란 쉽지 않은 일이고, 그 안에서 어떻게든 출구를 찾아야 그 질문의 해답을 찾게 된다. 언제나 물을 토해내는 수도꼭지는 어디론가 배출될 수 있는 출구가 된다. 답을 찾으면 출구가 보일 수도 있고, 출구를 먼저 찾으면 답이 나올 수도 있었다.

    입구는 어디서든 나를 유혹하고, 수도꼭지는 어디서나 꿈틀댄다. 사람의 마음속, 머릿속이 궁금해지거나 나 자신이 알 수 없는 그 것을 찾기 위해 무작정 여행을 떠난다면 시간과 공간을 또는 기억을 찾아 그 속을 파고들어야 할 것이다. 그 드넓은 우주를 탐색하는 연결통로이며, 드넓은 우주를 여행 할 수 있는 안내자 이다. 그리고 그 통로를 따라가다 우연히 열린 문을 통해 나의 시선과 마주한 콘크리트 풍경을 만났다. 인간의 위대한 기술로 만들어 내는 인공바위이며, 현대사회에서 벗어날 수 없는 풍경이고 우리들의 안락한 삶의 장소이다. 하지만 이러한 무분별한 형태의 바위들 속에서 회색 빛 현기증이 나기도 한다.

    최근에는 아파트의 층간 소음으로 서로 으르렁대는 사건들이 잦아지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었다. 아파트 창문 넘어 언제나 끊이지 않는 기계음이 들리고, 옆집에서 윗집에서 뛰는 소리가 들리며, 나 또한 조심스러운 발걸음으로 걸어 다녀야만 한다. 최소한의 쉼터에서 마저 편안하게 살 수 없는 환경이 사람들의 여유를 뺏어가고 있는 건 아닐까 이런 매 마르고 건조하고 현기증 나는 바위들 속에서 자연 속에 바위들을 바라본다. 여유롭고 웅장하며 기품 있는 자연 속의 바위, 무등산 위의 서석 대의 모습이 우리들의 아파트처럼 보였다. 그 모습은 진정한 아름다움의 쉼터였다. 아름다운 무등산의 서석 대를 참고하여 생활 속의 무등산, 콘크리트 속의 정원을 가꾸고 새로운 풍경을 그려본다.
    이런 판타지를 꿈꾸고 있는 미학적 해석이 내 가슴의 한쪽의 쉼터를 그려본다.



    Residency exhibition in Asia art theater in National asia culture complex



    A journal of contemporary art (article) #29 p54~p57

    Above all, in space of 2nd floor, to meet the beginning is 'the twentieth century people' of artist Jang Keunyoung.
    It is photo exhibition that lay and open altogether the high school yearbook in floor. And John Berger's sentence is quoted as 'mysterious historic tense' in front of the yearbook. It speaks thus "I have looked like this" and to mention history as method which is able to stare camera lens.

    Rewinding sense that is seems to be possible to infinite retroactivity like "I have (had had had......) looked like this" and may be demanded sense of media by photography which is indicated as tense ,before history so-called before-past. In one's way of watching of John Berger, would be these historical tense think preceding step before historical juncture as latency a form. It is surprise and ,from now on, that ordinary the twenty century yearbooks were seen through unfamiliar and mysterious frame as 'before-the past tense'.

    And In 'moving theater' that was builded reaching end of corridor, artist Jang Keunyoung and We Seonghee play the performance 'The body case'. It is realtime tasks performance when Jang keunyoung read her diary about feeling of body that extract herself the thread of private history, We seonghee cut out and paste up on a wall photography of her body. Choreography has evolved in such a way. It is not the only result that raise time-based skin ship which face each other all things of cities 'seoul & gwangju'.

    Every bookmark of her diary turn up injury of body like reflection, to be felt when the wall have been covered with overlapped pieces of body images is true that story of two cities have plug into something mythic a time zone before western film when god of city Gilgamesh and god of county Enkidu meet first time. Choreographic standpoint, ideogram is the multiple tune which means may make with body and gesticulation, come to reach process of mythic invitation through two stages of a wall painting in a cave. Mythic category is finally domain of self-confidence that could explain into one world and body. How come this to happen? ' exhibition' is the only product of residency project in Gwangju asia theater. But it is considered that need review problem at a widespread residency program in korean situation.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예술극장 레지던시 전시에서



    <시각예술저널 경향> article #29 P54~P57 중에서

    우선 2층 공간에서 첫머리에 마주치는 것은 장근영 작가의 (20세기사람들)이다. 고등학교 졸업 앨범들을 죄다 열어놓고 있는 사진전이다. 그리고 그 앨범 앞에는 ‘기괴한 역사적 시제’라고 하면서 존 버거의 문구가 인용되어 있다: “나는 이렇게 생겼었습니다” .라고 말하면서 카메라 렌즈를 응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식으로 역사를 언급하기. “나는 이렇게 생겼었(었었었었.....)습니다”라고 무한소급이 가능할 것 같은 리와인드 감각과 과거가 역사화 되기 이전의 소위 ‘전-과거’ 시제로서 제시되는 사진이란 매체의 감각을 요청한다고 할까.
    존 버거의 ‘보기의 방식’에 역사화 되는 시점 이전의 단계를 하나의 잠재 태로 사유하는 이런 역사적 시제가 있었나 하고 놀라는데, 이제부터는 그 평범한 20세기의 앨범 사진들이 ‘전-과거시제’라는 낯설고 기괴한 프레임을 통해서 보이게 된다. 그리고 복도의 끝을 만나서 만든 ‘이동극장’에서는 장근영, 위성희 작가가 <몸의 경우>라는 퍼포먼스를 진행한다. 장근영 작가가 스스로 개인사의 갈피에서 추출해낸 몸의 느낌에 관한 일기를 읽을 때면, 위성희 작가가 작가의 몸을 찍은 사진을 오려서 벽에 붙이는 실시간 작업이다. 안무는 이런 식으로 진화해왔다. 이것은 광주와 서울이라는 만유의 도시가 서로를 마주하면서 피부자아가 격렬하게 시간적 스킨십을 일으킨 결과만은 아니다.
    일기의 갈피마다 몸의 상처가 하나의 투영처럼 나타나고, 그것이 벽 위에 중첩된 신체의 조각 이미지들로 도배되어갈 때 느껴지는 것은 두 도시 이야기가 서부극 이전에 도시의 신 길가메쉬 시골의 신 엔키두가 처음 만나서 툭탁거렸던 신화적 시간대에도 걸쳐 있다는 사실이다.

    기호는 몸과 몸짓의 리듬이 만드는 의미의 복수적인 선율이라는 안무적 사물은 이 동굴벽화의 두 단계 과정을 통해서 신화적인 과정으로의 초대로까지 다가왔다. 신화적이란 범주는 결국 세계와 몸을 하나로 설명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의 영역이다. 어떻게 해서 이런 일이 발생할 것일까. <가로 세로>전시는 광주아시아예술극장 레지던시 프로젝트의 산물에 불과하다고 하는데, 레지던시가 보편화된 한국적 상황에서 재음미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마치 밤의 물리학처럼 두 대의 교차하는 열차들이 서로가 서로를 환각처럼 느끼면서 현실을 조율한다고 할까. 오랜만에 만나는 비현실적인 몸의 감각이 두 대의 환등으로 커지는 ‘기괴한 역사적 시제’속에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