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성소/Psychological Sanctuary / 2015 / Pencil on paper, book(알랭드보통, Alain de Botton 행복의 건축,THE ARCHITECTURE OF HAPPINESS ) / 150cm x 107cm

조금 전까지만 해도 이 집에서는 아이들의 외침과 어른 목소리가 울려 퍼졌다. 그러나 두 세 시간 전 남아 있던 마지막 사람마저( 작은 가방을 들고)떠나자, 이집은 홀로 아침을 음미하게 되었다.

집에서는 공허를 즐기는 표시가 나타난다. 밤을 보낸 후에 자신을 재정리하고, 파이프를 청소하고, 관절을 꺾어본다. 복도에서 아이들이 시도하는 물구나무, 집은 식견을 갖춘 증인으로 성장했다. 집은 연애가 시작될 때에도 관여했으며, 숙제를 하는 것도 지켜보았고, 포대기에 푹 싸린 아기가 병원세서 막 도착하는 광경도 지켜보았으며, 한밤중에 부엌에서 소곤 소곤거리며 나누는 이야기에 깜짝 놀라기도 했다.

집은 물리적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성소가 되었다. 집은 정체성의 수호자였다. 오랜 세월에 걸쳐 그 소유자들은 밖으로 떠돌던 시절을 끝내고 돌아와 주위를 둘려보며 자신이 누구인지 기억했다.

-알랭드보통 '행복의 건축'-



Earlier today, the house rang with the sound of children's cries and adult voices, but since the last occupant took off (with her satchel) a few hours ago, it has been left to sample the morning by itself.

The house gives signs of enjoying the emptiness. It is rearranging itself after the night, clearing its pipes and cracking its joints with its coppery veins and wooden The house has grown into a knowledgeable witness. It has been party to early seductions, it has watched homework being written, it has observed swaddled babies freshly arrived from hospital, it has been surprised in the middle of the night by whispered conferences in the kitchen.

It has provided not only physical but also psychological sanctuary. It has been a guardian of identity. Over the years. its owners have returned from periods away and, on looking around them, remembered who they were.

-Alain de Botton 'THE ARCHITECTURE OF HAPPINESS"-





공허를 즐기는 enjoying the emptiness /
Pencil on paper, book(Alain de Botton
THE ARCHITECTURE OF HAPPINESS) /150cm x 107cm /2015





창조주가 자리하고 있어.
나는 패의 영감을 받아 창조주를
향한 순례의 길을 떠난다.

아름다움에 취한 내 마음을 움직이는,
그 숱한 생각들을 형태로 만들기 위하여,
이렇듯 나는 알고 있다.

내 저 아름다운 패에서
시선을 떼지 못함은,

신의 낙원으로 가는 길을 비추는 광채가
그 눈에 깃들어 있기 때문임을.

-막스밀러 독일인의 사랑 *Michelangelo Buonarroti의 소네트로부터-


Si ben col suo Fattor l'opra consuona,
Ch'a lui mi levo per divin concetti;
E quivi informo I pensier tutti e idetti;
Ardendo, amando per gentil persona.

Onde, se mai da due begli occhiil guardo
Torcer non so, conosco in lor la luce
Che mi mostra la via, ch'a Dio miguide;
E se nel lume loro acceso io ardo,
Nel nobil foco mio dolce riluce
La gioja che nel cielo eterna ride.

-You know his sonnet:-

빨강 ,파랑 회유 /red, blue conciliate/ 130cmx162cm/Acrylic on cloth, Marbles for games, book
(막스 밀러 ‘독일인의 사랑‘) 2015





기억의 잔상/ Think again/300cm x 300cm x 300cm/ Installation, bathtub, toilet paper[roll], book (막스밀러 ‘독일인의 사랑)/2015

우리가 일단 인사를 나누고 악수를 했던 이들로부터 헤어진다는 것이 얼마나 가슴 아픈 일인가를 우리는 알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갈될 수 없는 사랑의 생에는 단지 몇 방울의 물밖에 남아 있지 않다. 이 단 몇 방울의 물에 매달려 우리는 혀를 축이고 갈증으로 타 죽는 것을 겨우 면하고 있는 것이다.

달아오른 모래 위에 떨어지는 빗방울처럼 스스로를 소모하는 사랑 타오르다 주저 않는 한 가닥 불꽃, 온기를 주지도 않고 다만 연기와 잿더미만 남긴다. 우리는 이렇게 모두 한때는 이 같은 불꽃놀이를 영원한 사랑의 햇빛이라고 믿는 것이다. 그러나 불꽃이 환하면 환할수록 뒤따르는 어둠의 농도는 더욱 짙은 법이다. 우리는 그것이 무엇인지를 모른다. 그것은 사랑도, 우정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때 우리는 인간과 인간의 사이가 형제지간이나 부자지간, 또 친구지간보다 더 가까워져 있음을 느낀다. 그리고 마치 성서의 낡은 잠언 구절처럼, (낯선 타인)이 가장 가까운 이웃이라는 말이 우리의 영혼 속으로 파고들어 울린다. 그렇다면 왜 우리는 그것을 알지 못하며, 겸허히 그것에 순종해야 하는지 모른다. 그러나 한번쯤 시도해 보라. 두 대의 기차가 서로 엇갈리며 철로 위를 질주하는데, 너를 향해 인사를 하려는 듯한 낯익은 눈을 발견했을 때, 손을 내밀어 알게 되리라. 왜 이 세상에서 인간은 말없이 인간을 스쳐 지나가는지를

-막스밀러 ‘독일인의 사랑’중에서-

We have once greeted, and whose hands we have clasped. And of this fountain of love there remain but a few drops. We still call these few drops love, but it is no longer the clear, fresh, all-abounding child-love.

Love which wastes itself like rain-drops upon the hot sand; a fire which burns up and down, yet does not warm, and leaves nothing behind but smoke and ashes. All of us at some period of life have believed that these rockets of sunbeams were everlasting love, but the brighter the glitter, the darker the night which follows.

We know not what it is, for it is neither love nor friendship. Then one realizes that man is nearer to man than brother to brother, father to son, of friend to friend. How an old, holy saying rings through our souls, that strangers are nearest to us. Why must we pass them in silence? We know not, but must resign ourselves to it. When two trains are rushing by upon the iron rails and thou seest a well-known eye that would recognize thee, stretch out thy hand and try to grasp the hand of a friend, and perhaps thou wilt understand why man passes man in silence here below.

-F Max Miiler "A story of German Love"-





기념물/Monument/50cmx300cm/Installation, corn, book( 존버거 ‘본다는 것의 의미’)/2015

생생한 기억을 간직하는 데 기여하는 도구
살아온 삶을 기억하게 해주는 기념물인 것이다.
현대의 공적 목적을 가지고 있는 대개 우리들, 그것을 읽어내는 사람들,
또는 그 사건이 원래 가지고 있던 의미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어떤 사건, 포착된 한 벌의 모습들을 제시하게 된다.
그것은 정보를 제공하지만, 그것은 실제로 경험했던 모든
것과는 별개의 것이 되어버린 정보인 것이다.
-존버거 “본다는 것의 의미” 중에서-



Used as an instrument to contribute to a living memory.
The photograph is a memento from a life being lived.
The contemporary public photograph usually presents an event,
a seized set of appearances,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us,
its readers, or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the event.
It offers information, but information severed from all lived experience.
-John berger "aout looking"-





기념물/Monument/40cmx100cm/Installation,amber, chair, 눈의황홀/2015






몇 번이고 그리는 가운데 먹고 싶다는
바람의 크기에 비례하여 포획물인 동물이
조금씩 실체가 있는 것으로 여긴다.

그리고 그러는 가운데 동물 그림에 무심코
창을 꽂으려고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동물의
고기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몽상’이다.

여기에서 ‘몽상’을 형태로 만드는 방법인 주술이 생겨났다.
강한 ‘몽상’을 개입시키는 것, 즉 주술이 걸린 동물
그림은 고대인에게 실상이 되어 갔다.
단순한 그림인데도 주술적 행위를
거친 이미지 안에서 그림은 바로 생생하게 살아난다.

주술적인 색채를 띤 순간부터 단순한 그림의
존재감이 있는 것으로 바뀌어간다.

‘오브제’다.

-마쓰다 유키마사/ 송태욱 옮김 ‘눈의 황홀’ 중에서-





풍요한 보상/ Abundant rewards/ 40cm x 100cm/ Installation, Bouquet 막스 밀러 ‘독일인의 사랑’/2015

이토록 아름다운 너를 위해 어떤 손이
꽃다발 역기를 마다할까.

오 이 얼마나 가이없는 기쁨이냐!
이곳 히스관목 무성한 골짜기에서
너와 함께 지낸다는 것은.

네 소박한 생활을 좆아 살며,
이제 나는 신에게 감사한다! 이 외딴 곳으로
나를 안내해준 그 은총을.

나는 큰 기쁨을 맛보았고, 이제 이곳에서
풍요한 보상을 안고 떠난다.

이런 곳에서라면 우리는
기억을 존중할 줄 알게 된다.
기억이 눈을 갖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그럴진대. 왜 내가 떠나기를 꺼려하는가
나는 이곳이 그녀를 위해 마련된 장소임을 느낀다.

생이 지속되는 한 이 장소는
지난날과 똑같이 새로운 기쁨을 주리라는 것을

-막스 뮐러 /차경아 옮김 ‘독일인의 사랑’ 중에서-

What had but would a garland cull
For thee who art so beautiful?

O happy pleasure! here to dwell
Beside thee in some heathy dell;
Adopt your homely ways

Now thanks to heaven! that of its grace
Hath led me to this lonely place.

Joy have I had; and going hence
I bear away my recompense.

In spots like these it is we prize
Our memory, feel that she hath eyes:

Then why should I be loth to stir?
I feel this place was made for her;

To give new pleasure like the past,
Continued long as life shall last.
Nor am I loth, though pleased at heart.

-F Max Miiler "A story of German Love"-





심리적 성소/ Psychological Sanctuary / 130cm x 97cm/ Acrylic and paper and pencil on cloth/ 2015





심리적 성소/ Psychological Sanctuary / 91cm x 72.7cm/ Acrylic and paper and pencil on cloth/ 2015





심리적 성소/ Psychological Sanctuary / 72.7cm x 60.6cm/ Acrylic and paper and pencil on cloth/ 2015